[2025 영 디자이너] 미소랑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미소랑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7 085612
차미소랑은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도예유리디자인 석사과정을 공부했다. 테이블웨어 브랜드 미소랑의 대표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지난해 서울디자인페스티벌 디자인 브랜드 프로모션에 처음 참여하며 많은 관람객과 즐겁게 소통했다. 예상보다 큰 관심과 응원은 큰 힘이 되었고, 더 성장할 수 있는 방향을 확인한 소중한 경험이었다. 올해는 한층 더 발전된 모습으로 그 경험을 이어가고자 다시 참여했다.


스튜디오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미소랑은 ‘일상에 미소랑’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상의 사물에 즐거움을 더해 미소가 머무는 순간을 전하고자 탄생한 브랜드다.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에서 도자를 전공하며 시작되었고, 도자를 기반으로 한 테이블웨어·데스크웨어에 감정과 유머를 담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hand mug
하이포 머그.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손 모양을 차용해 친근함과 위트를 더할 뿐 아니라 감정적 교감을 이끌어낸다.
스튜디오 이름에 담긴 뜻이 있다면?

‘미소랑’은 내 본명인 차미소랑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미소 + 함께(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작업의 성격과 정체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본명을 브랜드에 걸었다는 것은 스스로에게 건네는 다짐이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장이라 생각한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기쁨(Joy), 유머(Humor), 인터랙션(Interaction), 그리고 감정을 지닌 캐릭터(Object with personality). 사물을 단순한 기능적 도구가 아닌 감정을 담는 존재로 바라보며 일상 속 유쾌한 순간이 번지는 장면을 상상한다. 감정과 사물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는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도자는 차갑고 정적인 재료로 인식되지만, 표정과 제스처를 부여하면 친근하고 따뜻한 존재가 된다. 일상 속에서 오래 함께할 수 있는 지속성과 감정이 스며드는 물성을 가진 재료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또한 흙이라는 재료가 작업 과정에서 유연하게 감정의 형태를 담아낼 수 있다는 점도 도자를 선택한 중요한 동기였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사물이 건네는 유머와 즐거움이 마음의 온도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매일 손에 쥐고, 식탁에 올려두고, 바라보는 사물이 조금 더 친근하고 따뜻하다면 일상도 더욱 부드러워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내 작업의 사물들은 기능적 도구를 넘어 곁을 지키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되기를 기대한다. 작은 미소 하나가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일상을 만들고자 한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사물에게도 손과 감정이 있다면?’이라는 상상에서 출발했다. 손 모양의 손잡이와 제스처가 담긴 오브제를 통해 사물이 먼저 말을 걸고 반겨주는 경험을 제안한다. 일상의 기쁨을 직접 만지고 느끼며, 사물과 감정적으로 연결되는 순간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사람과 사물이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탐구할 예정이다. 유머와 따뜻함을 전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테이블웨어에서 출발했지만 데스크웨어와 다양한 리빙 오브제로 영역을 넓히고,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무대에서도 미소랑의 즐거운 일상을 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