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예진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예진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7 085617
최예진은 표면장력에 의해 수축된 표면을 수학적으로 해석한 ‘극소 곡면’을 주제로 작업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의 힘(표면장력)으로 형성된 표면은 비누막처럼 우연적이고 유동적인 형태이지만, 이를 재구성한 사물은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감각을 선사한다. 작업은 CAD 기반 3D 모델링 프로그램 그래스호퍼Grasshopper로 설계하고, 금속 적층 제조기술의 일종인 SLM(Selective Laser Melting, 선택적 레이저 용융)공정을 통해 제작한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대학원 과정을 마무리하며 앞으로의 작업을 꾸준히 이어갈 동기와 원동력이 필요했다. 디자인 분야 종사자뿐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며 더 나은 작업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나에게 작업은 나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행위이자 그 결과물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는 행위이다. 이번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는 그 소통을 향한 첫걸음이다.

작업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금속공예를 기반으로 다양한 일상 사물을 제작한다. 공예에서 ‘기술’과 ‘재료’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어떤 사물이 만들어질 때 어떤 기술이 사용되고 어떤 재료로 구성되는지를 관찰하는 일은 늘 흥미롭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기법보다는 새로운 기술에 주목해왔고, 그 결과 금속 적층 제조기술의 한 방식인 SLM(Selective Laser Melting, 선택적 레이저 용융) 공정을 활용하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20251109 121833
구조적 비누 막을 주제로 제작한 사물은 특징적인 개방성을 통해 공간과 조화를 이루며, 모서리나 비어 있는 공간 등 곳곳의 위치에 풍부한 시각성을 제공한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조화. 표면장력과 같이 자연의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의 조형성을, 자의적으로 변형하여 일련의 연결성 및 규칙을 형태에 표현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은 자연의 일부처럼 보이기도 하고, 동시에 인공적인 구조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 두 가지의 상반된 요소가 한 사물의 형태 안에서 균형을 이루며 조화롭게 공존하는 순간을 추구한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금속(알루미늄). 금속은 형태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재료다. 유동적인 표면장력의 형태를 금속이라는 견고한 재료로 ‘고정’시켰을 때 생기는 긴장감의 표현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또한 쓰임이 있는 사물을 제작하는 입장에서 금속은 기능성과 내구성 면에서도 훌륭하게 호환되는 재료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내 작업은 심오한 의미나 메시지를 담고 있기보다 일상 공간에 특별함을 더하는 사물에 가깝다. 현대인이 일상에서 촛대나 독특한 형태의 화병을 자주 사용하진 않지만, 그러한 뜻밖의 사물 하나가 공간의 분위기를 바꾸고 하루를 특별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그 특별한 일상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전시는 연말의 따뜻한 정찬 자리를 연상시키는 공간으로 구성했다. 매일 경험하는 ‘식사’라는 행위가 독특한 형태의 사물을 통해 조금 더 특별하게 기억되기를 바란다. 일상의 풍경 속에서 사물이 전하는 감각적 경험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앞으로 작업을 다양한 형태로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만들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일상 사물로 작업의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새로운 재료와 기술을 탐구하며 가능성을 넓혀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