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1 20251107 085625](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7_085625-832x1248.jpg)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디자이너의 성장에 중요한 두 가지는 경험과 네트워크라고 생각한다. 그중 네트워크를 어떻게 넓혀야 할지 막막했는데, 이번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연상. 일상 속 개념이나 동식물, 사물 등을 바라볼 때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는데, 그 파편들을 조합하면서 작업의 콘셉트를 정한다. 이후 자료조사를 통해 관련된 개념이나 기능을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작업을 발전시킨다. 때문에 순간적으로 연상된 이미지의 감각을 잊지 않으려 노력한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주로 금속과 목재를 사용한다. 학교에서 금속공예와 목공예를 접하면서 처음 다뤄본 재료이기도 하고, 가구와 같은 구조적 오브제를 제작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같은 재료라도 가공 방법과 마감 방법에 따라 다양한 매력을 보여준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2 20251109 123453](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9_123453-832x624.jpg)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3 20251109 123458](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9_123458-832x624.jpg)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사물은 단순한 장식이나 편의품이 아니라 존재 이유를 지닌 하나의 개체다. 그 존재 이유를 디자인적 언어(구조, 조립, 기능)와 작가적 언어(서사, 정체성, 감정)를 적절히 결합해 ‘사물은 납득 가능한 존재가 될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이번에 선보이는 ‘구성체 시리즈’는 탄소 결합 구조의 규칙을 디자인 언어로 참고해 모듈 가구의 형태를 갖췄지만, 기존 가구와는 다른 새로운 조형을 띤다. 이러한 조형의 가구가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했는지 보여주고, 새로운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4 20251109 123520](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9_123520-832x551.jpg)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최진형 5 20251109 123505](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9_123505-832x563.jpg)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지금까지는 퍼포먼스 요소가 강한 작업을 주로 진행해왔다면 앞으론 상업적 요소에 좀 더 힘을 준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기존 작업과 지향점이 다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다양한 소재가 계속 등장하는 시대임에도 기존에 사용하던 소재에만 머물러 있었던 점이 아쉬웠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새로운 소재를 탐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