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37년 만에 그룹의 글로벌 헤드쿼터를 리뉴얼했다. 한국 건축의 전통에서 영감을 받은 LG트윈타워의 건축적 정체성을 되살리고 현대화했다.
LG트윈타워의 계승과 발전
남산 힐튼 호텔의 철거 발표와 관련해 최근 건축계에서 헤리티지 건물의 보존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활발한 가운데 근대 건축을 사려 깊게 보존하면서 오늘날의 사용성을 확보한 반가운 사례가 있다. 국제 양식(international style) 건축의 대명사인 미국의 SOM(Skidmore, Owings & Merrill)사가 한국적 디자인을 녹인 독특한 설계로 1987년 여의도에 준공 이후 최근 공용 공간 리뉴얼을 마친 LG트윈타워다. LG는 37년 만에 그룹의 글로벌 헤드쿼터를 리뉴얼하며 한국 건축의 전통에서 영감을 받은 이 건물의 독자적인 건축적 정체성을 되살리고 현대화했다.
LG트윈타워는 6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34개 층의 업무용 타워 두 개와 중앙 아트리움으로 구성된다. 1980년대 초, 최초 설계 시 SOM은 외부 경관을 끌어들이는 한옥의 차경 개념과 레이어된 격자 구조, 빛, 투명성 등 한국 전통 건축의 특징에서 착안한 원칙을 제시했다. 이러한 디자인 원칙은 건물 골조의 기본 그리드와 4층 높이의 유리 아트리움의 면 분할 패턴을 포함한 외부 디자인뿐 아니라 인테리어에도 녹아들었다. 아트리움 내부의 벽, 바닥, 천장에 적용한 패턴과 격자는 문창살을 떠올리게 하는 한편 3차원 공간을 조직하는 명확한 틀을 제공했다.
LG는 다시 한번 SOM사와 손잡고 약 2년에 걸쳐 로비, 아트리움 등 공용 공간을 리뉴얼했다. 동선과 개방감, 채광을 개선하는 대규모 구조 변경을 진행했지만 골조와 바닥, 벽체, 집기 등과 설계 당시부터 이 건물 곳곳에 녹아 있던 문창살, 차경, 청사초롱, 꽃담, 화계 등 한국적 디자인 헤리티지는 그대로 보존했다. 원작의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살리는 한편 새로 조성하는 요소도 기존 전통 문양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현했다.
11월부터는 LG트윈타워 곳곳에 숨어 있는 한국적 디자인 모티브와 이를 계승해 발전시킨 현재의 모습을 알리는 특별전 〈계승과 변화(Tradition & Transformation)〉를 진행 중이다. 이 특별전은 건물에 적용된 패턴을 그래픽 디자인 형태로 한눈에 보기 쉽게 소개하고, 건물 내·외부를 돌며 각 요소를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돕는다. 문창살 패턴은 LG트윈타워 중앙 아트리움의 유리 벽체와 천장, 골조 및 곳곳의 바닥 타일 장식에서, 꽃담은 LG트윈타워를 감싸고 있는 담장에서, 화계는 동관 외부의 계단식 화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초 설계 당시의 도면과 손으로 그린 공간 디자인 드로잉 등 1980년대 사료도 함께 전시해 재미를 더하고, 역사적 오리지널리티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 꽃담의 타일 장식이 아트리움의 형태에도 반영되었듯 마치 숨은그림찾기처럼 LG트윈타워를 다시 보게 한다. 전시는 LG트윈타워 동-서관 2층을 잇는 트윈 브릿지(Twin Bridge)에서 볼 수 있다. 리뉴얼을 통해 새로 조성한 트윈 브릿지는 LG트윈타워의 동-서관 시설을 연결하는 편리한 동선이자 헤리티지와 변화를 잇는 공간 콘텐츠를 품은 가교이기도 하다. 사옥 건물이지만 일반 관람객이 방문할 수 있는 공용 공간에 전시를 조성한 것 또한 반가운 일이다. 향후 한국 근현대 건축에 관한 담론의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LG트윈타워는 LG그룹의 상징적인 건물인 동시에 한국 건축사에서 의미 있는 헤리티지다. 공간도 브랜드 경험의 일부인 만큼 구성원들이 LG트윈타워의 독자적 헤리티지를 즐거운 방식으로 재발견하고, 앞으로 이곳에서 다양한 변화를 싹틔우자는 의미를 담아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박설희 LG 브랜드 담당 수석전문위원
“기존 건물의 건축 어휘를 존중하면서도 임직원들의 일상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변혁이 필요했다. 이 두 가지 과업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프로젝트였다.”
2025년 여름, 파리의 팔레 갈리에라(Palais Galliera)에서는 디자이너 릭 오웬즈Rick Owens를 조명하는 회고전 <템플 오브 러브 Temple of Love>가 열리고 있다. 패션이라는 주제를 넘어 총체적 예술의 무대를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30여 년에 걸친 그의 창작 여정을 관통하며 옷이라는 매개를 통한 인간의 연약함, 사회적 긴장, 그리고 사랑의 가능성을 설명한다.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스플래시! 수영과 스타일의 세기>전시가 열리고 있다. 2025년 3월 28일부터 오는 8월 17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지난 100년간 수영복과 수영 문화의 변화를 사회적‧문화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리도 붐, 베이워치, 머메이드 코어에 이르기까지 200여 점의 오브제를 통해 디자인이 몸, 여가, 정체성을 어떻게 바꾸어왔는지를 보여준다.
OPEN YY, 뉴발란스, 산산기어, 푸마 등 요즘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부터 칸예(YE)와 같은 해외 아티스트까지. 가장 핫한 팝업이나 작업물의 크레딧을 살펴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이름이 있다. 바로 ‘스튜디오 터(STUDIO TUH)’. 컴퓨터 기판과 웨어러블한 확대경으로 인비테이션을 만들고, 무한히 확장되는 큐브를 패션 브랜드의 캠페인 굿즈로 구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