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랜딩이라는 첨예한 과제를 돌파하는 데 소통과 협업이라는 정공법은 여전히 유효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소통과 협업의 정공법, 캐스틸 리브랜딩
이탈리아 가구 브랜드 캐스틸(Castil)은 철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남다르다. 금속 가공에 특화된 전문 기술을 보유한 곳으로, 이탈리아 우디네에 있는 공장에서 제작 전 과정이 이뤄진다. 부챗살처럼 각을 맞춰 늘어선 금속 튜브, 직선과 곡선이 어우러진 구조, 경쾌하고 캐주얼한 원색 컬러는 브랜드의 인장과도 같다.
캐스틸이 올해 과감한 리브랜딩을 단행한 것은 가구에서 느껴지는 농도 짙은 개성을 아이덴티티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다. 좋게 표현하면 정제된, 다르게 말하면 밋밋했던 기존 아이덴티티가 제품의 톤앤무드와 맞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리브랜딩의 기조가 대부분 기존 아이덴티티의 골조를 크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 뭉근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캐스틸은 완전한 쇄신을 원했고 이를 위해 혼도 스튜디오(Hondo Studio)에 집도를 맡겼다.
리뉴얼의 키를 건네받은 혼도 스튜디오는 캐스틸의 철제 가구 자체에 주목했다. 유연하게 구부러진 금속 튜브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치환해 로고타이프에 적용하고, 메탈릭한 컬러와 질감을 캠페인 이미지에 활용해 철제의 견고함과 정밀함을 드러냈다. 한편 로고타이프와 전용 서체를 디자인하는 과정에는 베스트 타입페이스(Best Typefaces)의 타입 디자이너 이그나시오 카스코(Ignacio Casco)가 힘을 보탰다. 전용 서체 ‘캐스틸 모노(Castil Mono)’는 두 스튜디오의 면밀한 협업 끝에 탄생한 폰트로, 로고타이프의 구조적 요소를 개념적으로 확장한 결과물이다. 이렇게 완성한 아이덴티티는 흡사 캐스틸의 공장에서 나온 듯 위화감이 없다. 리브랜딩이라는 첨예한 과제를 돌파하는 데 소통과 협업이라는 정공법은 여전히 유효한 해답이 될 수 있다는 걸, 캐스틸의 사례가 증명한다.
“사려 깊은 협업에 힘입어 이번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었다. 베스트 타입페이스와 손잡고 캐스틸의 철학을 깊이 탐구하는 과정을 거친 덕분에, 단순히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넘어 브랜드의 창의적 정신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힘 있는 시각 언어를 완성할 수 있었다.”
(왼쪽부터) 마리아 비오케(María Vioque), 프란 멘데스(Fran Méndez) 혼도 스튜디오 공동대표
디스트릭트(d’strict)는 ‘디자인을 엄격하게’라는 철학으로 출발한 글로벌 디지털 디자인 & 아트 컴퍼니다. 2004년 웹 에이전시에서 시작해 ‘라이브파크’, ‘플레이 케이팝’을 거쳐 몰입형 미디어아트 브랜드 ‘아르떼뮤지엄’으로 성장했다. 공동 창립 멤버 이상진 부사장은 UX 기획자로 입사해 디스트릭트의 창의적 실험을 이끌어왔으며, 최근 뉴욕 첼시 피어에 아홉 번째 아르떼뮤지엄을 열며 ‘영원한 자연(Eternal Nature)’의 세계관을 세계로 확장하고 있다.
디스트릭트(d’strict)는 웹 에이전시로 시작한 1.0 시기, 뉴미디어 프로젝트를 확장한 2.0 시기, 그리고 몰입형 미디어아트를 구축한 3.0 시기까지 끊임없이 진화해왔다. 기술을 실험의 도구로 삼고, 디자인을 본질로 다루며 ‘퀀텀 점프’를 이뤄낸 수많은 전환점이 지금의 디스트릭트를 만들었다. 그 여정의 흔적을 A부터 Z까지의 키워드로 되짚어본다.
‘오아시스(Oasis)’부터 ‘NCT WISH’, ‘실리카겔’, ‘삼성 라이온즈’, ‘고마츠 나나’, ‘쿠리하라 하야토’까지. 지금 가장 핫한 인물과 함께 호흡하고 있는 브랜드 산산기어. 매 시즌 친근하면서도 독창적인 컬렉션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산산기어스러움’이라는 독보적인 감각을 구축해온 브랜드다. 모두가 궁금해하는 프로젝트들과 그 뒷이야기를 듣기 위해 여름의 끝자락, 산산기어와 만났다.
‘오아시스(Oasis)’부터 ‘NCT WISH’, ‘실리카겔’, ‘삼성 라이온즈’, ‘고마츠 나나’, ‘쿠리하라 하야토’까지. 지금 가장 핫한 인물과 함께 호흡하고 있는 브랜드 산산기어. 매 시즌 친근하면서도 독창적인 컬렉션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산산기어스러움’이라는 독보적인 감각을 구축해온 브랜드다. 모두가 궁금해하는 프로젝트들과 그 뒷이야기를 듣기 위해 여름의 끝자락, 산산기어와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