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분위기를 띄우는 숨은 공신, 아이덴티티 디자인

왁자지껄한 축제의 분위기를 북돋우는 숨은 공신, 바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다.

축제 분위기를 띄우는 숨은 공신, 아이덴티티 디자인

왁자지껄한 축제의 분위기를 북돋우는 것, 바로 아이덴티티다. 먼발치에서 나부끼는 포스터와 현수막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들뜬다. 그러나 축제의 정체성을 디자인하려면 생각보다 고려해야 할 게 많다. 행사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되 누구나 다가올 수 있도록 허들을 낮춰야 하고, 시의성을 보여주면서도 지속성을 놓치면 안 되기 때문. 지금 소개하는 7개의 프로젝트는 두 마리, 세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은 똑똑한 아이덴티티다.

The New York Times: Food Festival
뉴욕 타임스: 푸드 페스티벌

20250626 074431
base design nytff case 5

〈뉴욕 타임스〉가 2022년에 선보인 ‘뉴욕 타임스: 푸드 페스티벌’은 요리를 매개로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기획한 행사다. ‘공원’, ‘이야기’, ‘밤’ 3개 섹션은 각기 다른 톤이지만 전체적으로는 통일된 아이덴티티 시스템 아래 뉴욕의 다채로운 음식 문화를 보여준다. 웹사이트에는 행사 섹션별 특징을 반영한 그래픽 요소와 인터랙션으로 재미를 더했고, 레드를 키 컬러로 사용해 활기찬 분위기를 강조했다.

클라이언트 뉴욕 타임스: 푸드 페스티벌
디자인 베이스 디자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Min Lew
참여 디자이너 Tom Fethers, Jun ki Hong, Nol Honig
발표 시기 2022년


Sundance Film Festival
선댄스 영화제

Sundance 15
Sundance 35

1985년에 시작한 선댄스 영화제는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독립 영화제다. 포르투 로샤Porto Rocha는 2023년 처음으로 이 행사를 위한 ‘만년 아이덴티티 시스템(evergreen system)’을 디자인했다. 개별 연도를 초월하는 전체 아이덴티티 시스템으로 영화제의 시각적 연속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영화 화면의 16:9 종횡비에 착안해 다양한 시각 요소와 연결·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 장치를 만들었다. 타이포그래피는 모뉴먼트 그로테스크로, 영화제의 존재감을 드러내면서도 여러 장르와 제목을 중립적으로 대변한다.

클라이언트 선댄스 재단
디자인 포르투 로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Leo Porto, Felipe Rocha
참여 디자이너 Martín Azambuja, Joseph Lebus, Natalia Oledzka
발표 시기 2023년


Festival Latent 2023
페스티벌 라텐트 2023

LATENT Feed
LATENT Web Desktop

페스티벌 라텐트는 디자인 및 창의 분야 인재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행사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디자인을 맡은 바콤 스튜디오Bakoom Studio는 ‘동네 바에 앉아 있는 순간에도 좋은 아이디어는 불시에 탄생한다’는 메시지를 시각화했다. 스페인의 레스토랑 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적 코드를 재해석해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비주얼 전반에 적용했다. 친근한 일상 속에 숨어 있는 창의성을 조명했다.

클라이언트 페스티벌 라텐트
디자인 바콤 스튜디오
발표 시기 2023년


Made
메이드

alles blau MADE flags

라틴아메리카 디자인 페어 ‘메이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및 사이니지 시스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국기로부터 추출한 그래픽 요소를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깃발을 디자인했다. 유서 깊은 상파울루
비엔날레 건물 내부에 강렬한 이미지의 깃발을 내걸어 라틴 문화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보여주었다.

클라이언트 메이드
디자인 Alles Blau Studio
참여 디자이너 Elisa von Randow, Julia, Masagão, Beatriz Dórea, Sofia Tomic
협업 Karina Aoki
발표 시기 2019년


Unusual Goods Fair 2023
언유주얼 굿즈 페어 2023

UGF mockup 002

언유주얼 굿즈 페어는 소규모 생산자와 기획자가 만든 물건이 적절한 쓰임을 찾도록 돕는다. 일상의실천은 언유주얼 굿즈 페어의 기본 아이덴티티 안에 그해의 키워드 ‘We Local’을 녹여냈다. 포스터 속 비일상적인 오브제가 결합된 모습은 관계와 공동체의 가치를 상징한다. 다채로운 컬러와 친근한 로고타이프로 생동감 있는 웹사이트를 디자인했고, 참가자들이 판매하는 굿즈를 타입별, 가격대별로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무작위로 나타나는 3D 그래픽 이미지는 행사의 성격을 드러낸다.

클라이언트 일상예술창작센터
디자인 일상의실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권준호
참여 디자이너 권준호, 안지효
웹사이트 개발 김경철, 고윤서, 임현지
발표 시기 2023년


Synchronize Festival 2022
싱크로나이즈 페스티벌 2022

3 DISTRICT STAGE
3 SF KV
MUSICIAN 3

싱크로나이즈 페스티벌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음악 축제다. 2022년 행사 아이덴티티의 주제는 ‘로컬, 목소리를 내다’. 인도네시아 남칼리만탄주 출신의 그래픽 디자이너 겸 일러스트레이터인 라흐마트 자카Rakhmat Jaka가 주제에 맞는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개발했다. 인도네시아인의 일상을 보여주는 그래픽 이미지에 원색 컬러를 입혀 축제의 활기를 표현했다.

클라이언트 싱크로나이즈 페스티벌
디자인 Studio Cipsi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Saleh Husein
참여 디자이너 Rico Prasetyo, Alfianri Ramadhan, Raihan Kiagoos, Hardianto Ekabelaw
협업 라흐마트 자카
발표 시기 2022년


Travelling through Sham Tseng
〈샴쳉 여행기〉전

sham tseng 09
sham tseng 03 1

홍콩의 디자인 스튜디오 펭귄Pengguin이 디자인한 〈샴쳉 여행기〉전 비주얼 아이덴티티. ‘통합’이라는 개념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조합해 전시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까지 확장되는 시각 시스템을 구축했다. 관람객은 마을 구석구석까지 확장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따라 거닐며 샴쳉 곳곳을 여행했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마을의 정체성을 디자인으로 되살린 사례다.

클라이언트 The Conservancy Association Centre For Heritage
디자인 펭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Soho So
참여 디자이너 Todd Lam
발표 시기 2021년

*이 콘텐츠는 월간 〈디자인〉 565호(2025.07)에 발행한 기사입니다. E-매거진 보기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