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영] 그레이쥬스 아트 스튜디오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인터뷰 프로젝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 디자이너'를 진행한다.
22년간 950여 명이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릴레이 인터뷰 형식으로 소개한다. 첫 주자로 2024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인 호모 오피스가 묻고 그레이쥬스 아트 스튜디오가 답했다.
호모 오피스(이하 호): ‘그레이쥬스 아트’라는 스튜디오 호칭이 흥미로워요. 지금의 스튜디오를 시작한 계기가 있나요?
그레이쥬스 아트 스튜디오(이하 그): 사실 저희 두 사람은 부부입니다! 결혼 전부터 각자의 길을 걸었고 결혼 후에도 얼마간 독자적으로 활동했죠. 그러던 중 우리에게 꽤 큰 변화가 생겼어요. 귀촌을 한 것인데 일과 생활의 기반을 통째로 옮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함께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말 그대로 ‘디지털 노매드’가 되어야 했죠. 물리적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을 활용해 태국 치앙마이로 2년 반 동안 조금 긴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습니다. 일상 차원에선 분명 멋진 날들이었지만 프리랜서로서 불만족스러운 부분들이 생기더군요. 결국 다른 누군가가 아닌 우리를 위한 그림을 그리며 에너지를 불태우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우리 두 사람을 닮은 스튜디오 이름 ‘그레이쥬스’가 탄생했습니다.
호: 설치 미술가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술과 디자인의 영역이 흐릿해진 만큼, 서로에게 오가는 영감이 작업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 같아요. 두 분의 협업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그: 아주 심플합니다. 각자의 할 일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소위 ‘각 잡고’ 앉아서 회의하는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그저 일정이나 세부 내용들을 그때그때 체크하고 리마인드하는 정도이죠. ‘눈빛만 봐도 안다’고 할까요?(웃음) 아마 부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공사 구분 없이 일하고 살며 치열하게 부딪히다 보니 나름대로 최적의 경로를 찾은 것 같아요.
호: ‘일상 안에서 관계를 맺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그레이 쥬스 아트 스튜디오의 하루는 어떻게 흐르나요?
그: 우리는 그레이 쥬스라는 브랜드를 ‘자연 안에서 여행을 하고, 일상 안에서 관계를 맺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라는 문장으로 소개합니다. 실제로 우리 두 사람은 여행도 많이 다녔고, 많은 사람을 만나 새로운 경험을 즐겼습니다.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혼자 혹은 각자의 상상, 사건, 고민을 뒤섞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을 좋아합니다. 일과 일상이 혼합되어 있다 보니 브랜드를 통해 표현하는 이야기들이 실제 우리 삶과 닮았습니다. 사실 요즘에는 고민도 있습니다. 지난 5년간 활동하며 크고 작은 성과가 있었지만, 너무 바쁘게 생활하다 보니 창작을 위해 깊이 빠지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거든요. 함께 영화를 보거나 토론했던 시간이 까마득하군요. 일정에 쫓기는 것 이상을 위한 묘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호: 작년, 2023 영 디자이너 페스티벌에 참여하신 게 기억에 남아요. 한쪽 벽면에 가득 채운 일러스트와 문구 그리고 두 분의 머플러를 두른 모습이 선명합니다. 올해 재참가를 결심한 이유와 목표가 있을까요?
그: 작년 전시를 기억해 주다니 감사합니다! 사실 스튜디오를 오픈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팬데믹이 시작되는 바람에 꽤 긴 시간 온라인으로만 활동하다 지난해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을 계기로 오프라인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시 기간 현장에서 부스를 찾는 관람객을 보는 것만으로도 벅차오르더군요. 그 관심이 다른 협업 프로젝트로 이어지는 성과도 있었습니다. 한편으로 지난 전시 때 아쉬웠던 점을 돌아보기도 하는데요, 아쉬움 없이 많은 분과 만나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드는 것이 올해 목표라면 목표일 수 있겠네요.
호: 올해 전시는 어떤 메시지와 방식으로 영감을 전달할지 궁금합니다.
그: 5년 차가 되니 어떤 브랜드가 되어야 하는지 고민이 깊어지더군요. 우리가 만드는 제품이 얼마나 다양하고, 쓸모 있고, 예쁘고, 마감이 좋은지 어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어떤 고민을 안고, 어떠한 태도로 살고 있는지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결과물 이전에 그것이 어떤 과정과 생각을 쌓았는지 보여주고 싶어요. 이런 생각은 곧 공예가 가지는 가치와 맞닿아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아마 일련의 고민이 묻어나는 작품들로 채워질 듯합니다.
인터뷰 호모오피스(박은희)
‘식물의 주체성’, ‘타자에의 개방성’을 중심으로 식물과의 새로운 공생 시나리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