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영] 호모 오피스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인터뷰 프로젝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 디자이너'를 진행한다.

[꼬꼬영] 호모 오피스

22년간 950여 명이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릴레이 인터뷰 형식으로 소개한다. 릴레이 마지막 주자로 2024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인 에그보이가 묻고 호모 오피스 박은희가 답했다.

박은희를 주축으로 활동하는 ‘디자인크루’ 호모 오피스는 디자인과 공생에 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진다. 이번 SDF에서 그 질문은 ‘호모플랜타니아’라는 주제로 드러난다. @parkenhii
에그보이(이하 에): 호모 오피스라는 이름에 담긴 뜻이 궁금합니다.

호모오피스(이하 호): 호모 오피스는 시대 담론을 리서치하고 다양한 매체로 풀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매체 혹은 맥락적 접근이 될 수도, 더 나아가 디자인에 반문하는 작업이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인류학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데요, 인간을 지칭하는 호모(Homo)와 작업실(Office)을 합친, 나름의 언어유희입니다. 디자이너는 작업실에서 작업만 하니까요.

에: 스페큘러티브 디자인(Speculative Design)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에 관한 간략한 설명과 더불어 대중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소개 바랍니다.

호: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을 제안한 던 앤 라비 (Dunne & Raby)는 “디자인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디자인을 수단으로 여깁니다. ‘만약(what if)’이라는 질문으로 현 사회를 분석하고, ‘난제(wicked problems)’라고 부르는 문제에 새로운 관점을 불어넣고, 대안적 삶의 방식에 관해 토론하는 것이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의 지향점입니다. 그러나 분명 한계도 존재하죠. 일상과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미술관에 종속된다는 점입니다. 다만 기존 통념과 반대되는 개념을 사유한다는 것은 현재 우리의 상황을 인지하고 성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금 더 실천에 가까울 수 있도록 기획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매체를 시도해 보고 있는데요, ‘우리는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장이 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 SDF에서 선보일 프로젝트 ‘주체적 식물: 호모 플랜타니아’에서 ‘호모플랜타니아’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다양한 소재 중 특별히 식물을 택한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호: 이 작업은 SK 이노베이션이 내건 주제 ‘친환경’으로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자연을 수단 혹은 타자로 바라보지 않고 인간과 동등한 입장에서 바라보기 위해서는 신 유물론적 접근이 필요했습니다. 결국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 짓기에 생기는 모순들이 인간 중심적이라고 느껴졌습니다. 낯설게 바라보는 관점이 어쩌면 소수에게만 통용되는 언어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새로운 시각이라고 포장된 디스토피아를 그리는 것보다 성찰할 수 있는 실천적 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이러한 과정에서 주목한 점은 우리는 정말 ‘‘친’환경적인 ‘태도’를 갖추고 있는가?’ 였습니다. 이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는 모두가 ‘환경’이라고 인식하는 가장 일상적인 연상이 필요했고, 그것이 식물이었습니다. 인류학 개념 중 문화상대주의가 있습니다. 모든 문화적 행태는 같으며 우열이 없다는 뜻이죠. 중부 말라야의 세마이족(semai)은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호혜성을 바탕으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이 호혜성이 힌트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생물학자 도나 해러웨이는 트러블(곤란함)과 친족을 맺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인간은 ‘Homo’가 아닌 ‘Humus(퇴비)’로, 인류세가 아닌 쏠루세(Chthulucene), 즉 땅의 시대로. 다만 이 작업에서는 ‘호모’ 플랜타니아라고 지칭하는데요, 그 이유는 호혜성을 바탕으로 한 인간이 자연과 관계 맺기 때문입니다. 호모 플랜타니아의 일상이 지금 저희가 살아가는 날들에 조금의 힌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에: 호모플랜타니아라는 독특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컬처 커뮤니티를 만들 계획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접근방식이나 기획을 고려하고 있나요?

호: 호모 오피스는 디자인 크루입니다. 뒤샹은 샘(Fountain)을 통해 기존 미술관의 체제를 비판하며 개념미술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디자인계에도 반향을 일으킨 그룹이 있죠. 래디컬 건축으로 알려진 슈퍼스튜디오(Super studio)입니다. 이들은 “디자인이 한낱 소비를 유도하는 것에 불과하다면, 우리는 디자인을 거부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급진적인 작업을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그들의 잔재는 던 앤 라비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호모 오피스는 ‘대중들의 관심을 유발’하기보다 ‘디자인 업계에 질문을 던지고’ 싶습니다. 지금 우리는 디자인이 ‘자연스러운’ ‘플랫함’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발적 행위가 예술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정확히 말하자면 현시점 디자인이 위치한 현실과 힘을 직시하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지금은 소수이지만 디자인에 관해 토론하고 해석하는 것이 유의미한 결과를 낼 것으로 생각해요. 지금은 저(박은희)와 함께할 분을 모집 중입니다.

에: 페스티벌 이후 호모 오피스의 행보가 매우 기대됩니다.

호: 다양한 나라의 디자이너들과 저마다의 가치를 품은 작가를 만나서, 과학자와 연구하고, 건축가와 영화를 만들고, 요리사와 글을 쓰고, 생태학자, 철학자와 전시를 기획하고, 소통하고, 무엇보다, 조금의 유머와 잔잔한 열정을 지속하면서 디자인이 무엇인지 정의해 나가겠습니다.


인터뷰 에그보이
펀슈머를 위한 라이프굿즈 브랜드.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