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스튜디오 언폴드 변우연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스튜디오 언폴드 변우연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3 094318
건축 디자인을 전공한 변우연은 언제 어디서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제품을 만드는 스튜디오 언폴드를 설립했다. 특정한 스타일을 추구하기보다 보는 이가 편하게 느끼는 경험을 선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얻기 위해 서울의 디자인페어를 방문했다. 어릴 때부터 공간을 꾸미는 것을 좋아해 건축디자인을 전공했고, 디자인 감각이 필요한 분야이다 보니 디자인된 건물과 작품들을 보는 것을 즐겨왔다. 서울로 취업한 뒤 친구와 함께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을 관람했는데, 개성 있는 디자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는 모습이 마치 천국 같았다. 직접 보고 싶은 마음이 커지며 소유하고 싶고 만들어보고 싶다는 열망이 생겼다. 이후 스스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고, 점차 다양한 재료로 작업하며 작품의 수가 늘어났다. 내 눈에 좋게 보이는 작품들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 궁금해져 사람들에게 보여주기로 결심했다. 그렇게 준비 끝에 첫 개인전을 감사한 마음으로 마쳤고, 더 큰 도전을 해보고 싶어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영디자이너에 지원하게 되었다. 감사하게도 그 기회를 얻게 되어 정말 기쁘다.

스튜디오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결성 배경도 궁금하다.

스튜디오 언폴드는 언제, 어디서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작품과 제품을 만드는 스튜디오다. 일상 속의 사소한 깨달음에서 시작됐는데, 정보와 자극이 넘치는 사회 속에서 어느 날 햇살 좋고 바람이 부는 날 멍하니 창밖을 바라보다가 편안함을 느꼈다. 그때 시선을 방해하지 않으며 바람에 흔들리던 커튼과 그 뒤로 비치던 나뭇잎, 햇살이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것을 깨달았다. 그 순간의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형태로 남기고 싶어 특정한 색이나 강조 없이 언제 어디서든 두었을 때 보는 이가 편하게 느끼는 경험을 전하고자 스튜디오를 만들게 되었다.

스튜디오 이름에 담긴 뜻이 있다면?

말 그대로 ‘un’과 ‘fold’, 즉 ‘접혀있는 것을 펴다, 펼치다’라는 의미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이 이름은 크게 세 가지 뜻을 담고 있다. 첫째, 작품을 만들 때 재료를 접거나 구겼다가 다시 펼치며 디자인을 잡아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둘째, 오래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바람을 실제로 펼쳐보고, 나아가 일상 속에서 차곡차곡 쌓인 생각과 영감을 꺼내 펼쳐보며 비워지는 시원함과 눈앞에 드러나는 뿌듯함을 전하겠다는 의미다. 마지막으로는 이제 막 한 걸음을 내디딘 디자이너로서 앞으로도 계속해서 펼쳐지고 뻗어나가겠다는 다짐과 포부를 담고 있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자연스러운, 편안한, 덩어리, Unfold, 펼쳐지다

20250711 180610
바람이 닿아 날리는 듯한 패브릭은 메탈릭한 표면 마감으로 단단히 둘러싸인 듯한 인상을 준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패널이나 캔버스 위에 메쉬, 패브릭, 석고를 주로 사용한다. 건축 분야에서 일하면서 자연스럽게 현장에서 사용하는 재료를 접할 수 있었고, 한동안 유럽식 미장재나 마감재에 깊이 매료되기도 했다. 작업자의 손이 닿는 힘과 면적, 방식에 따라 질감이 달라지는 점이 무척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직접 내 손으로 다뤄보고 싶었다. 특정 대상을 보고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손의 감각으로 디자인되는, 보고 있으면 눈이 편안해지는 ‘인테리어용 작품’을 만들어보고자 했다. 그러다 반죽처럼 질감이 있으면서도 가공이 쉬운 재료를 떠올리다 보니 석고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물과 만나 반죽이 되고,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마르면 단단히 굳어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작품의 의도와 잘 맞아떨어졌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흐르는 의식 속에서 잠시 멈춰 있던 시선 끝의 평화로운 장면을 붙잡고자 하는 마음으로 첫 작품을 시작했다. 하지만 작품이 완성되어 관객이 그것을 보는 순간, 의도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나를 포함한 모든 이를 위한 작품을 만들고자 했기 때문이다. 건축 베이스의 작업을 전개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공간에 어우러지고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작품을 추구해오기도 했다. 비록 주관적인 과정 속에서 창작된 작품이지만, 보는 이들이 각자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 조용하면서도 미묘한 움직임을 느끼며 편안하고 자유롭게 감상하길 바란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작가가 개인적으로 이름 붙인 다양한 형태의 ‘사색의 덩어리’를 통해 관객 모두가 가장 편안한 순간에 가장 편안한 사색을 마음껏 즐길 수 있길 바란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시간이 묻어나는 소재와 기능, 그리고 실용성을 결합해 은은한 존재감이 느껴지는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작업이 관객 개개인의 일상에 스며들어 잠시나마 생각을 비워낼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다양한 기능과 재료의 융합을 상상하며 앞으로도 공간과 예술을 잇고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작업을 이어갈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나무라는 재료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떠올리며 ‘나무, 공간, 목조, 시대’로 이어지는 흐름을 연상했고, 그 대표적인 예로 한옥을 떠올리게 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한옥의 요소를 접목해보았으며, 앞으로도 한옥을 보다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해볼 예정이다. 또한 조화를 이루며 나아가는 사람으로서 공간뿐 아니라 환경과도 함께 확장해 나가길 바라며 스튜디오가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원의 순환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방안을 탐구하고 실제 작업에 적용해 나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