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유상우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유상우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4 014336
유상우는 기존의 산업 제품이 가진 익숙한 구조 안에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고, 사용 과정에서 경험하지 못한 기능적이거나 감정적인 순간을 설계하고 실험한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나는 경험을 설계하는 디자이너다. 이번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작업 과정에서 시도하는 다양한 접근을 사람들과 직접 공유하고,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스튜디오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딥 필드Deep Field 스튜디오는 ‘경험의 과정을 디자인하는 스튜디오’다. 기존의 산업 제품이 가진 익숙한 구조 안에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고, 사용 과정에서 경험하지 못한 기능적이거나 감정적인 순간을 설계하고 실험한다.

스튜디오 이름에 담긴 뜻이 있다면?

‘딥 필드’는 아무것도 없다고 여겨졌던 우주의 검은 공간을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하면서 발견한, 수많은 은하들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겉보기에는 아무것도 없는 어둠처럼 보여도, 그 안에 있는 무수한 경험과 이야기의 존재를 찾아 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딥 필드 스튜디오는 보이지 않는 가치와 경험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과정을 만들어나간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확장. 물리적으로 형태가 변하고 달라진다는 의미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제품을 사용하는 경험의 확장을 목표로 작업하고 있다.

20251104 072000
‘플럭스Flux’는 끊임없이 변하고 빛이 흐르는 모습을 담아낸 디자인으로 조명의 형태가 변할 때마다 공간에 부드럽고 유연한 변화를 더한다. 어두울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재료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사용자의 경험 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많은 목업을 만들고 테스트하는데, 그 과정에서 3D 프린터를 자주 사용한다. 0.1mm 단위까지 수정이 쉬워 형태와 감각을 빠르게 조정하며 실험한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제품의 작동과 사용 방식에 따라 사용자와의 관계가 달라진다. 그러한 관계의 변화 속에서 생겨나는 감정과 느낌을 사용자가 직접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20251104 072238
어두울 때는 작은 면적만 차지해 공간에 개방감 만들고 확장되면 따뜻하고 생동감 넘치는 빛으로 방안을 밝혀주어 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분위기와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전시에서 선보이는 조명은 형태가 줄어듦에 따라 빛의 방향과 밝기가 변하고, 그에 따라 공간의 분위기도 달라진다. 조명을 단순히 빛을 밝히는 도구가 아니라, 공간의 분위기와 감정에 반응하는 존재로 느꼈으면 한다. 그 변화를 통해 관객이 공간에 내재한 감정의 온도나 밀도를 직접 경험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첫 시작은 조명이었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산업군으로 영역을 확장해나가고자 한다. 사용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형태와 기능, 감정이 연결되는 새로운 방식을 계속 탐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