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강연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강연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4 014337
이강연은 금속을 중심으로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가구와 오브제를 제작한다. 일상 사물을 매개로 우리가 무심히 지나치는 감정이나 장면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작업의 방향성을 보다 넓은 맥락에서 검증해보고 싶었다. 일상 속 사물을 통해 사회적 감각을 환기하는 작업을 해왔는데, 디자인 페어라는 공적인 무대에서 그 태도가 어떻게 읽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동시에 동시대의 다른 젊은 디자이너와 교류하며 표현 방식과 개념을 확장할 계기로 삼고 싶었다.

대표 작업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내 작업은 대부분 기능에서 시작하지만, 그 안에 감춰진 의미나 감각을 드러내는 것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 진행 중인 ‘크로마키 시리즈Chroma-Keyed Series’가 대표적이다. 크로마키에 사용되는 녹색과 청색은 인간의 피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색으로, 피사체를 왜곡하지 않고 배경을 분리하기 위해 선택한 색이다. 그러나 이 ‘안전한 색’은 동물의 외피 위에서는 지워짐과 은폐의 표면으로 작동한다. 인간의 존재를 보존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적 장치가, 역설적으로 동물의 존재를 삭제하는 색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나는 크로마키를 단순한 영상 합성 기법이 아니라, 인간이 선택을 통해 무엇을 남기고 지울지를 결정하는 행위로 본다. 크로마키에서 특정 색은 제거되지만, 그 자리는 언제든 다른 이미지로 대체 가능한 빈자리로 남는다. 이는 인간이 불편한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장면만을 남기는 의도적 망각의 구조와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의도적 망각, 기능과 내러티브, 크로마키

image10
’캐비닛, 토끼’, 800x400x1200mm, Powder-coated Steel, Plastic, 2025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동물 형상은 3D 프린팅을 통해 플라스틱으로 제작했다. 이러한 인공적 재현은 생명의 일부가 기술적으로 추출된 듯한 인상을 남긴다. 동시에 복제 가능한 구조와 매끈하게 처리된 표면은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만들어낸다. 구조에는 금속을 사용했다. 일상 가구나 산업 현장에서 흔히 쓰이는 금속은 위생적이고 기능적인 이미지로 인식된다. 그러나 완성된 작업에서는 이러한 차가운 물성과 표면이 도축장, 수술실, 혹은 공장 내부를 연상시키는 재료로 작동한다. 익숙한 형태의 사물을 마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은 어딘가 불편하고 서늘한 감각을 느끼게 된다. 형상에 입힌 녹색은 대상의 존재를 지워버리는 기술적 맥락과 맞물려 ‘망각’이라는 주제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이 색은 장식적 의미를 넘어, 몸과 죽음을 감추고 위장하는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 작동한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작업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키워드는 ‘회복’이다. 여기서 말하는 회복은 단순히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정 속에서 더 단단해지고 견고해지는 변화를 뜻한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회복의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수많은 생명과 사물을 효율적으로 소비하면서 그 이면의 불편한 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한다. 나는 익숙한 매체를 통해 이 망각의 상태를 시각화하고자 했다. 거창한 해답을 제시하기보다는 관람자가 스스로 질문을 떠올릴 수 있는 여백을 남기고 싶었다. 이 시도가 우리가 일상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잊고 지나친 것들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mage11 1
’사방탁자, 악어’, 400x400x1700mm, Aluminum, Stainless Steel, Plastic, 2025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기존 작품과 신작을 함께 구성해 작업의 흐름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도록 했다. 익숙한 구조 안에 낯선 요소를 삽입한 장면을 통해 관객이 일상성과 불편함의 경계를 경험하길 바란다. 금속을 활용한 전시 구조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마치 공장식 시스템의 일부에 들어온 듯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최근에는 망각이라는 개념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그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실험적으로 적용하며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