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세민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세민 1 20251104 014339](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4_014339-832x1248.jpg)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학교에서 지난 1년 동안 진행한 작업을 한자리에서 보여주고 싶었다. 동시에 그 과정에서 만든 작품을 다시 돌아보고, 조금 더 발전된 형태로 선보이고자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했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경계. 나는 끊임없이 어떤 경계에 서 있다. 그래서 경계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이번 작업에서도 기억과 망각, 두 대척점에 있는 개념의 경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세민 2 2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_2-832x1243.jpg)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세민 3 2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2-832x555.jpg)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전공이 도예라 흙을 다루는 데 익숙하다. 하지만 이번 작업에서는 유리와 나무를 사용했다. 도예 졸업 전시를 준비하던 시기에 구현하고자 한 사물의 형태와 흙이 가진 물성 사이에서 한계를 느꼈고, 새로운 재료를 탐구해보고 싶었다. 흙 이외의 수많은 재료 중 가장 본질적인 재료를 사용하고자 유리와 나무를 선택했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거창한 메시지를 전하려는 목표보다는 매 순간 진심을 다해 무언가를 만들어보려는 나의 태도가 전해지길 바란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내 작업을 보고 약간의 묵직함을 느꼈으면 좋겠다. 나는 곁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것을 만들고 싶다. 보다 가볍게 물건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반해, 과정으로 만들어낸 물건을 관객에게 보여주고자 한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는 디자인을 하고 싶다. 그 해답이 신소재나 새로운 기술에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 답을 찾기 위해 앞으로 더 공부하고 탐구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