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예지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이예지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4 014340
이예지는 단청의 세계를 새롭게 번역하는 디자이너다. 전통의 조형미를 해체하고 현대의 감각으로 다시 조립하며 ‘익숙하지만 처음 보는 듯한’ 경험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스튜디오 O:llZl은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실험실 같은 공간이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내 작품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었다.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의 평가도 물론 소중하지만, 더 넓은 시선에서 피드백을 받아보고 싶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내 작업이 어떤 감정과 해석을 불러일으키는지 직접 확인하고, 단청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시도가 낯선 이들에게는 어떻게 다가오는지도 궁금했다.

스튜디오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아직 학부생이라 본격적인 스튜디오라고 하기에는 이르지만, 작업의 정체성을 이어가기 위해 ‘O:llZl’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졸업 후에는 이 이름을 기반으로 세계관을 더욱 확장해, 실제 스튜디오 형태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튜디오 이름에 담긴 뜻이 있다면?

‘O:llZl’은 발음보다 형태가 중요한 이름이다. 전체적인 구조가 내 이름인 ‘예지’와 닮아 있다. 읽는 방법에 정답이 없는 점 또한 나의 디자인 철학과 맞닿아 있다. 누구나 자유롭게 보고, 느끼고, 해석하길 바란다.

1 2
단청이 지닌 상징성과 아름다움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6 1
작품에 옻칠 기법을 접목해 전통의 깊이와 현대적 질감을 더했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단청. 전통 문양의 구조와 색을 해체하고 다시 조합하며 새로운 감정과 형태를 실험한다. 전통의 틀 안에서 자유를 찾아내는 과정이 내 작업의 핵심이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주로 옻칠을 사용한다. 학부 수업 중 작품에 나전칠기가 어울릴 것 같아 무작정 시도했는데, 생각보다 배우기 어려운 기법이었다. 그래서 나전칠기 명장을 찾아가 하나씩 배우며 작업을 시작했다. 그때 옻칠의 깊은 색감과 질감, 그리고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연스러움에 완전히 매료됐다. 손이 많이 가지만, 그만큼 애정이 쌓이는 재료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전통은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새롭게 해석할 수있는 재미있는 주제다. 단청을 단순한 문양으로 소비하는 대신, 현대적인 감각으로 다시 열어보고자 한다. 시대가 변하더라도 전통은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단청을 조금 더 친근하게 느꼈으면 한다. 멀고 어렵게만 느껴지던 전통이, 색다른 형태와 재료 속에서 새롭게 다가오길 바란다.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통이 이렇게 변할 수도 있구나’ 하는 즐거운 발견의 순간을 선물하고 싶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현재는 연화문을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단청의 다양한 문양을 확장해 새로운 세계관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전통을 가볍게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균형감을 찾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이를 위해 색, 재료, 형태를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