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HH 오브젝트 이호영, 홍성민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 영 디자이너] HH 오브젝트 이호영, 홍성민 1 20251105 111343](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20251105_111343-832x1248.jpg)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HH 오브젝트는 금속이라는 재료를 통해 한국의 전통을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해석한다. 이번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그동안의 실험과 시도를 더 넓은 무대에서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또 동시대 디자이너와의 교류를 통해 우리의 작업 방향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고자 했다.
스튜디오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결성 배경도 궁금하다.
경기대학교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3학년인 이호영과 홍성민이 함께 운영하는 금속 오브젝트 스튜디오다. 두 사람은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풀어내고 싶다’는 공통된 생각을 바탕으로 학부 시절부터 조명 작업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서로의 조형 감각과 기술적 강점을 결합해 협업을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스튜디오 결성으로 이어졌다.
![[2025 영 디자이너] HH 오브젝트 이호영, 홍성민 2 KakaoTalk 20250710 204122005](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KakaoTalk_20250710_204122005-832x1248.jpg)
![[2025 영 디자이너] HH 오브젝트 이호영, 홍성민 3 KakaoTalk 20250710 204122005 0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KakaoTalk_20250710_204122005_01-832x1248.jpg)
스튜디오 이름에 담긴 뜻이 있다면?
‘HH’는 각각 이호영(Ho)과 홍성민(Hong)의 이니셜에서 비롯됐다. 동시에 ‘H’라는 형태는 구조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조형미를 상징한다. ‘오브젝트’는 단순한 조명이 아니라 하나의 ‘사물적 경험’을 제안하는 오브제로서의 작업을 의미한다.
스튜디오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균형과 여백. 우리의 작업은 형태 안에서 시각적 안정감을 찾는 과정이다. 단순한 구조 속에서도 긴장감이 흐르고, 그 사이에서 편안함이 느껴지는 지점을 탐구한다. 금속이라는 차가운 재료 속에서도 온도와 리듬이 전해질 수 있도록 표면과 형태의 관계를 섬세하게 조율한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스테인리스 스틸을 기반으로 황동과 칠보七寶 등의 전통 기법을 결합한다. 스테인리스는 현대적인 질감과 구조적 강도가 뛰어나며, 빛을 다루기에도 적합하다. 여기에 황동의 따뜻한 색감이나 칠보의 유려한 색채를 더해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시각적으로 완성하고자 한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금속의 단단한 물성을 통해 전통의 감성을 다시 느끼게 하고 싶다. 과거의 미감이 단지 유물이 아니라, 여전히 현대의 공간 안에서 살아 숨 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작업은 ‘시간을 잇는 디자인’에 대한 탐구다.
![[2025 영 디자이너] HH 오브젝트 이호영, 홍성민 4 KakaoTalk 20250710 203747580](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5/11/KakaoTalk_20250710_203747580-832x832.jpg)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조용하지만 몰입감 있는 순간을 전하고 싶다. 작품을 보는 동안 형태의 관계나 빛의 변화에 자연스럽게 시선이 머물며 관객이 스스로의 감각에 집중할 수 있기를 바란다. 금속의 표면이 빛을 머금는 방식, 형태의 균형이 만들어내는 리듬을 통해 잠시 머무를 수 있는 정적인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그 짧은 머무름 속에서 사소한 아름다움과 평온함을 느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전통 기법과 현대 기술을 결합해 금속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3D 프린팅 금속 조형, 칠보, 단청 색채 연구 등을 통해 현대 공예의 확장성을 실험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한국적인 감성과 금속 디자인의 구조미를 해외 무대에서도 선보일 수 있는 브랜드로 성장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