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정유경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2025 영 디자이너] 디자이너 정유경

23년간 1000여 명의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소개한다.

20251106 083844
정유경은 조형과 감각의 경계를 탐구하는 오브제 및 가구 디자이너다. ‘경계 없는 감각의 확장’을 모토로 감각적인 오브제와 공간 구조물을 제작한다.
올해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에 참여한 계기가 무엇인가?

조형과 감각의 경계를 탐구하는 오브제 및 가구 디자이너로서 실험적인 공간 속에 대중과 직접 소통하고 싶었다.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젊은 디자이너들이 자신만의 언어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는 장이기에 참여를 결심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공예성과 회화성, 그리고 산업 소재의 조형적 가능성을 함께 보여주고자 한다.

작업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산업 자재에 공예적 감각을 결합해 감각적인 오브제와 공간 구조물을 제작한다. 예술, 디자인, 공예의 경계를 허물며 감각의 경험을 확장하고자 한다. ‘경계 없는 감각의 확장’을 모토로 디자인적 의미가 담겨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데 이는 재료, 형태, 감정의 경계를 넘나드는 태도를 의미한다. 작업 과정에서 느껴지는 우연성과 균형의 순간을 포착하며 시각과 촉각이 동시에 작동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본인의 작업을 정의하는 키워드는?

분절과 이음, 색의 흐름, 구조적 감정. 형태를 분절하고 다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유동성을 통해 감정의 결을 시각화한다. 또한 색채가 구조 안에서 회화적으로 스며드는 지점을 통해 조형적 서사를 만든다.

20251106 084343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선보이는 전시 <경계의 단면, 색의 공간화> 조감도.
20251106 084521
조형물의 구조적 형태 안에 회화적 색감과 감정의 흔적을 넣어, 색과 형태가 공간 안에서 서로 긴장하고 조응하는 감각적 경험을 제안한다.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가 있다면?

스테인리스와 아크릴이다. 스테인리스는 구조적 단단함과 차가운 긴장을, 아크릴은 빛과 색의 유동적인 감각을 전달한다. 서로 대비되는 두 재료를 결합함으로써 물질의 물리적 속성과 감각적 인상이 교차하는 지점을 표현하고자 한다.

작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형태의 분절과 이음 사이에서 ‘감정의 구조’를 탐구하며 완전함보다 불완전함 속에서 흐르는 긴장과 균형의 미학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단단한 물질 속에서도 유동적인 생명감이 깃들 수 있음을, 색과 구조의 관계를 통해 표현하고 싶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가?

관람자가 작품 주변을 거닐며 불완전한 조형이 만들어내는 유동적인 감각을 직접 경험하길 바란다. 빛의 각도와 시점에 따라 구조의 흐름이 달리 드러나도록 설계했는데, 시각적 감상을 넘어 감각적 교감이 일어나는 조형적 경험을 선사하기 위함이다.

20251106 084608
선반 및 파티션 용도의 결 시리즈.
20251106 084618
벽 선반 형태의 결 시리즈.
향후 계획과 탐구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면?

색, 형태, 감각의 경계를 탐구하는 지속적인 시리즈로 작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목재, 금속, 레진, 아크릴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감각적인 오브제를 제작하고, 브랜드 공간 연출이나 팝업스토어 오브제 디자인 등으로 협업의 영역을 넓혀가고자 한다.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형 조형물뿐 아니라 소품 제작에도 힘쓸 예정이다. 나아가 컬러 아트퍼니처와 공간 오브제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를 구축해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잇는 새로운 디자인 경험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