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BIRTH MINE / 숨,쉼,틈

김선민, 김수연, 유소정

RE:BIRTH MINE

RE:BIRTH MINE

RE:BIRTH MINE

RE:BIRTH MINE

RE:BIRTH MINE

숨,쉼,틈

숨,쉼,틈

숨,쉼,틈

숨,쉼,틈

1. RE:BIRTH MINE
우리의 삶과 떨어질 수 없는 필수불가결 자원 플라스틱, 이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안이 필요하다. 플라스틱 제품의 일회적 사용을 '단절', 즉 환경 오염의 원인으로 인식하고 플라스틱을 ' 순환자원'으로 받아들여 올바른 재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순환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자원 순환 전시관 ‘Rebirth Mine’을 제안한다. 기존에 존재하는 광산에서의 채굴은 무분별하게 이루어질 때 자연이 파괴되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지만, 새로운 개념의 광산 ‘Rebirth Mine’에서는 이곳의 원석인 ‘폐플라스틱 가치’를 업사이클링을 통해 채굴하며 친환경적 자원순환의 개념을 담아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전시관으로 플라스틱 순환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2. 숨,쉼,틈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적절한 거리가 필요하다. 이는 공동체에서도 적용된다. 특히 함께 모여 사는 공동주택에서 적절한 거리가 보장된 공간은 서로의 자율성을 지키며 배려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이 프로젝트는 공공간호사를 위한 새로운 주거 공간을 제안한다. 공공간호사들은 타지에서 근무하며, 교대 근무의 높은 업무 강도와 동료들과 공동 생활을 해야 하는 특수한 환경 속에 있다. 고된 일상을 보내는 공공간호사에게 휴식과 안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틈’에서 거주민들은 숨을 쉬고, 쉼을 보낼 수 있다. 일부는 연결되고 일부는 분리된 구조에서 이용자들은 완전한 단절이 아닌, 필요한 순간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여유를 갖는다. 이를 확장하여 현대인의 쉼과 회복을 지원하는 공간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김선민 / Kim Sunmin

김수연 / Kim Suyeon

유소정 / Yoo So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