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p
이지윤
도시 사이 골목을 품은 학교
구도심의 골목길에서는 사회의 공동선과 동시에 각자의 개성을 발견할 수 있다. 골목길의 공간구조에서 학생들이 서로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학교를 동네의 커뮤니티로서 활용하며 사회의 공동선을 학습할 수 있는 학교를 제안한다. 어떤 길로 등교를 할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오늘은 어떤 학습을 할지 등 스스로 결정하도록 삶의 적극성을 유도한다. 우리는 공간구조가 사회적 관계 형성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망각하지 말아야 한다. 효율적이고 정돈된 도시 건물들 사이, 이 <틈>에서만큼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다양성을 꿈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