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통증 언어

강수정

통증을 나타내는 한국의 어휘 표현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만큼 한국인조차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기존의 연구자들 또한 이런 문제를 발견하고 통증 어휘를 정립하고자 여러 시도를 했지만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룹화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통증 어휘를 분석하고 시각적 맵핑을 통해 추상적인 시각물을 통해 제대로 통증을 전달할 수 있는 시각 체계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어휘라는 비정형적인 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어휘를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인터뷰, 카드 소팅, 설문조사 등의 여러 ux 방법론을 활용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시각적 키워드를 도출하여 5개의 통증 부위에 대해 18개의 통증 언어를 선정하여 시각물로 표현했습니다.

강수정 / suejeong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