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건축 잡지 〈미로〉 창간
반갑고 놀라운 잡지다. 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텍스트 중심의 건축 잡지 〈미로〉에 관한 얘기다. 건축의 층위가 다양한 만큼 필자의 폭도 넓다. 건축가, 기획자, 비평가, 큐레이터, 역사학자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제호에도 다층적 의미가 있다. 해법도 출구도 보이지 않는, 한국 건축이 처한 상황을 은유하는 한편 독자들이 예상치 못한 길을 찾길 바란다는 편집 지향점을 담았다. 또한 미로는 그 자체로 분명한 의도가 있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미로〉가 다루는 건물 역시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분명히 담긴 디자인이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음악, 영화, 문학, 공연 등 여러 창작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현대 문화에 대한 참조와 인용이 건축계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을 통해 되짚어본다. 2, 3, 4호는 각각 ‘일본’, ‘OMA’, ‘나무’를 주제로 이어질 예정이다.
“〈미로〉는 출구를 찾는 효율적인 최단 경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오히려 길을 잃고 헤매는 과정에서 생길지도 모르는 부산물에 더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온전한 건축의 신기루가 아니라 건축이란 이름 아래에서 벌어진 일들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신화 속 근원적 건축가가 아니라 미로라는 세계 속 산물을 제호로 삼은 것도 같은 이유다.”
박정현 〈미로〉 편집장
발행 정림건축문화재단
편집장 박정현
편집 김상호, 심미선
글 강신, 곽승찬, 김광수, 김사라, 김효영, 배윤경, 서재원, 송률, 이치훈, 이희준, 임윤택, 전재우, 최원준,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콜린 로우, 현명석
비주얼 아티스트 연여인은 최근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 포스터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HBO 드라마 <동조자>, 디즈니+ <나인 퍼즐>, 아리 애스터 감독의 <보 이즈 어프레이드> 등 영화와 드라마 작업은 물론, 케이팝 뮤직비디오와 국내외 브랜드 협업을 통해 예술과 상업을 넘나들고 있다. 오는 8월 30일, 그는 6년 만의 개인전도 앞두고 있다. 서로 다른 창작 환경 속에서 균형을 지켜온 비결은 무엇일까.
베트남의 최대 도시이자 경제의 심장 호치민. 동남아의 열기와 습도를 품은 건물들이 식민지 시절의 구획 위에 숲처럼 들어서 있다. 폭이 좁고 깊게 뻗은 튜브하우스, 외벽을 휘감는 식물 입면, 대나무와 노출 콘크리트가 뒤섞인 카페들은 이 도시의 얼굴을 만들어낸다. 내친 김에 ‘경기도 다낭시’에 새로 생긴 공간까지 훑어봤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감성을 품은 바르샤바 프라가 지구의 이 아파트는 폴란드 카토비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미스토비아(Mistovia)가 ‘더 많을수록 더 좋다(More is more)’는 철학을 바탕으로 감각적이고 과감하게 리노베이션 한 주거 공간이다. 의뢰인은 전 세계를 누비는 60대 변호사로, 공간에는 그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이 풍부하게 스며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