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건축 잡지 〈미로〉 창간
반갑고 놀라운 잡지다. 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텍스트 중심의 건축 잡지 〈미로〉에 관한 얘기다. 건축의 층위가 다양한 만큼 필자의 폭도 넓다. 건축가, 기획자, 비평가, 큐레이터, 역사학자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제호에도 다층적 의미가 있다. 해법도 출구도 보이지 않는, 한국 건축이 처한 상황을 은유하는 한편 독자들이 예상치 못한 길을 찾길 바란다는 편집 지향점을 담았다. 또한 미로는 그 자체로 분명한 의도가 있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미로〉가 다루는 건물 역시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분명히 담긴 디자인이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음악, 영화, 문학, 공연 등 여러 창작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현대 문화에 대한 참조와 인용이 건축계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을 통해 되짚어본다. 2, 3, 4호는 각각 ‘일본’, ‘OMA’, ‘나무’를 주제로 이어질 예정이다.
“〈미로〉는 출구를 찾는 효율적인 최단 경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오히려 길을 잃고 헤매는 과정에서 생길지도 모르는 부산물에 더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온전한 건축의 신기루가 아니라 건축이란 이름 아래에서 벌어진 일들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신화 속 근원적 건축가가 아니라 미로라는 세계 속 산물을 제호로 삼은 것도 같은 이유다.”
박정현 〈미로〉 편집장
발행 정림건축문화재단
편집장 박정현
편집 김상호, 심미선
글 강신, 곽승찬, 김광수, 김사라, 김효영, 배윤경, 서재원, 송률, 이치훈, 이희준, 임윤택, 전재우, 최원준,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콜린 로우, 현명석
박시영 디자이너는 감당할 건 감당할 줄 아는 어른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그는 업계를 향한 쓴소리를 내뱉는 것에도 거침이 없다. 그런 걸 보면 오랜 시간 스튜디오 ‘빛나는’이 최고의 선택지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 것 같기도 하다. 디자이너, 대표, 그리고 선배 박시영이 있기까지, 생각의 조각을 만나보자.
케이팝 디자인 언박싱! 스트리밍 시대에 하나의 물성으로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케이팝 앨범을 주목하며, 디자이너와 함께 언박싱 하듯 앨범 디자인 작업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풀어낸다. 더불어 변화무쌍한 케이팝 씬에서 앨범 디자인의 현재를 기록한다. 두 번째 인터뷰이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minisode 3: TOMORROW〉 앨범을 디자인한 최세열 디자이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