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건축 잡지 〈미로〉 창간
반갑고 놀라운 잡지다. 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텍스트 중심의 건축 잡지 〈미로〉에 관한 얘기다. 건축의 층위가 다양한 만큼 필자의 폭도 넓다. 건축가, 기획자, 비평가, 큐레이터, 역사학자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제호에도 다층적 의미가 있다. 해법도 출구도 보이지 않는, 한국 건축이 처한 상황을 은유하는 한편 독자들이 예상치 못한 길을 찾길 바란다는 편집 지향점을 담았다. 또한 미로는 그 자체로 분명한 의도가 있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미로〉가 다루는 건물 역시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분명히 담긴 디자인이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음악, 영화, 문학, 공연 등 여러 창작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현대 문화에 대한 참조와 인용이 건축계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을 통해 되짚어본다. 2, 3, 4호는 각각 ‘일본’, ‘OMA’, ‘나무’를 주제로 이어질 예정이다.
“〈미로〉는 출구를 찾는 효율적인 최단 경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오히려 길을 잃고 헤매는 과정에서 생길지도 모르는 부산물에 더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온전한 건축의 신기루가 아니라 건축이란 이름 아래에서 벌어진 일들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신화 속 근원적 건축가가 아니라 미로라는 세계 속 산물을 제호로 삼은 것도 같은 이유다.”
박정현 〈미로〉 편집장
발행 정림건축문화재단
편집장 박정현
편집 김상호, 심미선
글 강신, 곽승찬, 김광수, 김사라, 김효영, 배윤경, 서재원, 송률, 이치훈, 이희준, 임윤택, 전재우, 최원준,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콜린 로우, 현명석
건축사사무소 푸하하하 프렌즈는 2025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받았다. 패션 브랜드 디스이즈네버댓 성수동 사옥 ‘코어해체시스템’은 건축주인 브랜드의 성격과 업무 방식을 반영해 필수 공간을 새롭게 해석한 사례다. 하이브 사옥, 성수연방, JTBC PLAY, ㅁㅁㄷ-작은집 등 기업부터 개인까지, 프로젝트는 달라도 클라이언트를 0순위로 두는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설립 12년 차, 지금 서울에서 가장 주목받는 건축가 집단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푸하하하 프렌즈는 기업과 브랜드부터 기관과 개인까지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함께합니다. 하이브 사옥, 성수연방, JTBC PLAY, 어라운드 사옥 같은 기업 공간부터 ㅁㅁㄷ-작은집, 빈 모서리 집, 후암동의 추억, 괴산27호 등 개인 주거까지 폭넓게 다뤄왔죠. 각 프로젝트와 더불어 푸하하하 프렌즈가 어떻게 건축을 실험해 왔는지를 A부터 Z까지 키워드로 소개합니다.
국내 가구 브랜드 ‘틀(THE TLE)’ 철학을 담아 설계된 STUDIO TLE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정체성을 공간으로 풀어낸 전시장이다. 더 틀의 제품은 효율적인 구조와 세밀한 디테일이 만들어내는 높은 완성도가 특징이자 강점이다. 디자이너들은 이 점에서 브랜드가 가진 장인정신과 한국 가구 브랜드로서 이어가는 전통성을 발견했다.
2000년대 프레피 스타일부터 아르데코 인테리어까지, 핀터레스트의 2025 가을 트렌드 리포트는 대세를 따르기보다는 ‘각자의 이야기를 담은 유니크한 아이템을 찾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올가을, 패션과 여행, 향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핀터레스트가 제안하는 트렌드 속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어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