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 캐치한 디자인 트렌드
2025 생활 백서: 집과 공간, 일상을 바꿔줄 디자인 트렌드
한국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리빙·라이프스타일 전시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Seoul Living Design Fair)가 2월 26일부터 3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30주년을 맞이한 이번 행사는 한층 더 풍성한 콘텐츠와 함께 돌아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의 가치를 보여준다.


한국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리빙·라이프스타일 전시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Seoul Living Design Fair, 이하 SLDF)가 2월 26일부터 3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30주년을 맞이한 이번 행사는 한층 더 풍성한 콘텐츠와 함께 돌아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의 가치를 보여준다. ‘2025 생활 백서 : 삶의 낭만’을 주제로 삼은 이번 SLDF는 단순한 공간을 넘어 각자의 가치관과 이상을 담은 주거를 제시한다.


올해 SLDF는 총 501개 브랜드, 1,853개 부스로 참여하며, 리빙, 가구, 인테리어, 홈스타일링 등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을 선보인다. 특히, ‘디자이너스 초이스’ 주제전을 통해 ‘주택’이 아닌 ‘주거’의 개념을 깊이 탐구하며, ‘리스토러티브 림스’, ‘다목적 공간’, ‘컬렉터블 디자인’ 등 현재 가장 주목받는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들과 기업, 디자이너들이 참여한다.
더욱 풍성하게 돌아온 2025 SLDF. 수많은 부스와 넓은 전시장 속에서 어디서부터 둘러봐야 할지 고민된다면 이번 전시에서 꼭 주목해야 할 두 가지 핵심 포인트와 세 가지 트렌드 키워드를 먼저 살펴보고 방문해 보자.
Point 1. 디자이너스 초이스 3인의 컨셉추얼 하우징



SLDF의 핵심 섹션인 ‘디자이너스 초이스’는 국내 정상급 디자이너들이 한 해의 리빙 트렌드를 제시하는 자리다. 올해는 PPS 대표 구병준, WGNB 대표 백종환, bureau de claudia 대표 문지윤이 선정되었다. 세 명의 대표가 참여해 각자의 가치관과 삶의 이상형을 제시하고, 주거(HOUSING)의 개념에 초점을 맞춘 세 가지 타입의 컨셉추얼 하우징을 연출하고 소개한다.




세 디자이너들이 연출한 공간은 ‘Studio’, ‘A.P.T.’, ‘Mansion’ 이라는 세 가지 유형을 통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변화하는 ‘주거’의 개념을 보여준다. 집이라는 공간은 단순한 거주지가 아니라 각자의 이상과 경험이 투영되는 삶의 캔버스임을 강조하고, 주거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디자인과 기능적 요소들을 제안한다.

Point 2.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 콘퍼런스
SLDF의 시그니처 프로그램인 <리빙 트렌드 세미나>가 글로벌 콘퍼런스로 새롭게 확장한 모습으로, ‘Sustainable-yet-Profitable: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디자인 비즈니스’라는 주제로 이틀간 6개의 세션을 통해 관객들과 만난다

이번 콘퍼런스는 지속가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생각하는 디자인 산업의 미래를 모색한다. 건축, 인테리어, 공간, 뷰티, 웰니스, 등 다양한 라이프 산업 전반에 걸친 전 세계 9개국, 22명의 전문가의 강연을 통해 디자인과 비즈니스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떠오르는 디자인 신흥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 등 새로운 시장에 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얻고 네트워킹할 수 있는 세션도 마련된다.


첫째 날인 26일(수)에는 지속 가능성을 위해 폭넓은 관점에서 디자인과 시장을 다시 생각해 보는 강연이 펼쳐진다. 조병수 건축연구소의 조병수 소장, 일본의 소재 기반 혁신 디자인 스튜디오인 위플러스(we+) 토시야 하야시(Toshiya Hayashi) 공동 설립자 겸 디자이너, 전 세계 모든 에르메스 매장의 공간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는 프랑스의 RDAI 줄리아 캡(Julia Capp) 대표 등이 참여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27일(목)은 뷰티, 웰니스, 퍼니싱, 가구, 리테일 등의 부문과 브랜드 등 비즈니스에 밀착된 세션들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디자인 비즈니스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마이켄 칼하베(Majken Kalhave) 크리에이티브 덴마크 대표와 리즈 톰슨(Lise Thomsen) 덴마크산업협회(Danish Industry) 디렉터, 뷰티퓨처스 조직의 양연주(Yeonju Yang) 크리에이티브 부문 대표와 사라 므와퉁가(Sarah Mwathunga) 전략 부문 대표,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 에마뉘엘 플라(Emmanuel Plat) 상품기획 디렉터 등 다양한 연사들이 참여해 디자인 심도 있는 토의와 수준 높은 발표를 할 예정이다.
수많은 연사들에 대한 강연과 토의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SLDF 글로벌 콘퍼런스 홈페이지를 방문해 확인해 보자.
TREND KEY 1. 리스토러티브 림스(Restorative Realms)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집’은 단순한 주거지를 넘어 휴식과 회복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리스토러티브 림스’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자연 친화적인 디자인과 식물 기반 재료를 중심으로 실내 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여기는 트렌드 키워드이다.


이 섹션에는 여유롭고 차분한 색채로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일광전구’ 휴식 이상의 가치를 전달하는 가구 브랜드 ‘코웨이 비렉스’, 산, 바다, 나무 등을 일러스트 소재로 한 소품 브랜드 ‘웜그레이테일’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참여해 집을 재충전의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TREND KEY 2. 다목적 공간(Multi-Functional Space)
이제 공간은 정적인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개념으로 확장되며 하나의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다목적 공간’은 현대 주거 트렌드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홈 오피스, 휴식 공간, 취미 공간이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공간을 만들기 위한 가구, 인테리어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클래식한 감성의 모듈 가구 브랜드 ‘스트링 퍼니처’, 실용성과 심미성을 갖춘 홈 오피스 가구 브랜드 ‘메이우드’, 개인의 취미를 위한 방음형 작업 부스 브랜드 ‘프라이머리’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집을 더욱 유연하고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한다.
TREND KEY 3. 컬렉터블 디자인(Collectible Design)
인테리어 제품이 단순한 기능성을 넘어,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인식하는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는 인테리어 제품의 실용성과 기능성이 더욱 중시 여겨졌다면, 최근에는 자신의 미적감각과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컬렉터블 디자인’은 공간을 갤러리처럼 연출하며, 소장 가치 높은 독창적인 디자인 제품을 통해 생활 공간에 예술적 감성을 더하는 트렌드이다.


빛의 아름다움으로 공간을 꾸미는 조명 브랜드 ‘루미르’, 절제된 디자인을 선보이는 테이블웨어 브랜드 ‘다트 콜렉티브’, 리브랜딩을 통해 더욱 신선한 감각으로 주방에 예술적 감각을 불어넣는 ‘한국도자기’ 등이 참여해 주거공간을 하나의 갤러리로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다양하게 준비된 프로그램
3가지 트렌드로 꾸며진 부스들과 주제관, 그리고 글로벌 콘퍼런스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SLDF 장외 전시이자 리빙 트렌드를 이끄는 스팟들을 소개하는리빙 디자인 스팟이 준비되어 있어 코엑스를 벗어나도 다양한 장소에서 디자인적 영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월간 <행복이 가득한 집>과 전문 심사위원단이 선정하는 ‘리빙디자인어워드’도 준비되어 있다. ‘제품상’과 ‘공간상’ 두 부문으로 진행되며 제품상은 150여 개 브랜드가 참여한 1차 심사를 거쳐 30개 브랜드가 선정되었고, 26일 현장 심사를 통해 최종 5개 브랜드가 발표될 예정이다. 공간상은 SLDF에 참여한 모든 브랜드를 대상으로 현장 심사를 거쳐 5개 브랜드가 선정된다. 두 부문의 시상은 26일 저녁 오프닝 리셉션에서 진행될 예정이니, 그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