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 지하 1층 공용부를 새롭게 단장했다. MMCA 다원 공간과 영상관 사이 빈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모듈식 가구를 도입한 것.
모듈식 가구로 재배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용 공간
미술관에서 전시 공간 못지않게 중요한 곳이 바로 공용 공간이다.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 지하 1층 공용부를 새롭게 단장했다. MMCA 다원 공간과 영상관 사이 빈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모듈식 가구를 도입한 것.
가구 디자인을 맡은 구오듀오는 공용 공간의 유연한 특성에 기반해 모듈 시스템을 고안했다. 평소에는 라운지나 휴게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기자 간담회, 워크숍 등 행사를 진행하는 공간의 성격을 고려했다.
모듈식 가구 시스템 MCS(Modular Composition System)는 여러 개의 가구 요소를 연결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기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와 스툴은 연결했을 때 소파나 벤치가 된다. 가구를 연결할 때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스케일감과 구성의 재미에 공을 들였다.
각 가구는 이동과 배치가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료를 선택했으며, 이탈리아 패브릭 브랜드 피디비Fidivi의 신축성 있고 얼룩에 강한 원단을 사용해 완성도를 높였다. 천장의 다채로운 색과 어우러지는 버건디, 네이비, 베이지, 그린 톤의 가구는 미술관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편안하고 유연한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가구를 만들고자 했다. 가구의 여러 요소가 서로 연결되면서 새로운 형태를 이루며 이는 사용자의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허먼 밀러Herman Miller가 뉴욕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1980년대에 인기를 끌었던 아케이드 게임에서 영감을 받은 게이밍 의자 디자인을 선보였다. 컬러풀한 12종의 게이밍 의자를 디자인한 패일Faile은 스트리트 아트를 중심으로 그림, 설치물, 벽화, 타일 작업과 팝업 스토어 및 이벤트 공간을 연출하는 아트 및 디자인 스튜디오다.
프리츠한센이 덴마크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디자이너 폴 케홀름의 한국 첫 회고전 자리를 마련했다. 덴마크 디자인사 흐름을 따라 폴 케홀름의 생애를 조명하며, 그의 작업을 크게 ‘요소(ELEMENTS)’ ‘유형(TYPES)’ ‘구성(COMPOSITION)’으로 나누어 심도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자리로 마련했다. 특히 이번 전시를 위해 폴 케홀름의 가족과 덴마크 프리츠한센 본사는 그와 관련된 아카이브 자료 및 디자이너 생전에 소량 제작되어 단종된 희귀 제품을 제공했다. 폴 케홀름을 단독으로 소개하는 전시는 프리츠한센 글로벌에서도 최초로 진행되는 자리로, 올해 하반기에는 일본에서 동일한 주제의 전시가 진행될 예정. 현대 디자인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케홀름의 작품 세계를 따라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