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샤넬 X 예올 프로젝트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
올해의 장인과 젊은 공예인이 해석한 우리의 자연
2025 예올 X 샤넬 프로젝트 전시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이 예올 북촌가에서 열린다. 예올이 선정한 올해의 장인 박갑순 지호장과 젊은 공예가 이윤정이 종이와 금속이라는 상반된 물성을 통해 자연의 질서와 미학을 풀어낸다.


예올 X 샤넬, 전통 공예를 잇는 여정
2025 예올 X 샤넬 프로젝트이자 전시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Nature, As It Is)>가 예올 북촌가에서 열렸다. 이 프로젝트는 전통 공예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한국 공예 후원 사업에 헌신하는 재단법인 예올이 2022년부터 4년째 샤넬과 손을 잡고 함께 기획한 것. 자연이 우리에게 건네는 치유와 영감, 그리고 삶에 대한 통찰을 공예의 언어로 풀어낸다. 이번 전시는 2025년 올해의 장인으로 선정된 ‘지호장 박갑순’과 올해의 젊은 공예인의 ‘금속공예가 이윤정’이 참여했다. 여기에 ‘아키텍처럴 다이제스트(AD)’에서 한국인 최초로 세계 100대 디자이너에 선정된 양태오 디자이너가 3년째 프로젝트를 이끌며 전시 총괄 디렉팅을 맡았다. 전시의 주제에서 알 수 있듯 ‘스스로 그러함’이라는 자연의 태도처럼 재료를 다루며 자연과 긴밀히 호흡해 온 정을 전시에 담아냈다. 종이와 금속이라는 상반된 물성을 소재를 사용하는 두 공예가는 자연의 질서 안에서 드러나는 아름다움, 곧 자연스러운 미학을 전한다.


민화에서 길어 올린 자연의 미학
이번 전시는 전통 민화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을 바라보는 네 가지 태도를 따라 공간을 구성했다. 자연을 마주하고 그 상징과 의미를 천천히 되새기는 ‘경관(敬觀)’, 자연과의 해학적 유희를 통해 감각을 여는 ‘화락(和樂)’, 책가도의 세계를 따라 사유의 깊이를 더하고 내면적 자연과 교감을 시도하는 ‘독거(讀居)’, 그리고 다시 일상으로 되돌아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그리는 ‘평안(平安)’이다. 이 네 가지 태도를 의식하며 작품을 감상하길 추천한다. 그래야 작품 마다 담긴 스토리와 공예가들의 영감 포인트를 눈치챌 수 있기 때문. 특히 두 공예가가 협업한 작품들을 놓치지 말 것. 무거운 금속 뚜껑을 지탱하는 종이의 단단함도 감탄스럽지만 정반대 성질의 물성이 조화롭게 합을 이루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두 물성의 만남, 두 공예가의 만남




올해의 장인으로 선정된 지호장 박갑순(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지호장)은 낡은 고서와 자투리 한지처럼 쓸모를 다한 재료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이는 한지와 풀을 배합해 종이죽을 만들고 형태 틀에 여러 겹 덧붙여 작품을 완성하는 ‘지호공예’다. 이번 전시는 양태오 디자이너와 함께 전통 민화에서 영감을 받아 빚어낸 동물과 식물 형태의 기물을 선보인다. 민화 속 자연의 생명력을 단순하면서도 정감 있게 빚어낸 작품들을 통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조화로운 삶의 태도를 전할 예정. 가장 눈길이 가는 작품이자 위트가 더해져 정감 있는 ‘호랑이 까치 향로’는 놓치지 말길.





박갑순 장인과 더불어 올해의 젊은 공예인으로 선정된 금속공예가 이윤정은 금속을 소재로, 우리 주변에 늘 존재하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것들을 탐구한다. 한옥의 ‘못’, 작은 단위를 의미하는 ‘마이코타(MYCOTA)’ 시리즈가 대표적.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녹은 금속’을 통해 한층 깊어진 사유와 완성된 기법을 선보인다. 본래 ‘녹은 금속’은 주조 과정 중 한 단계로 여겨졌는데, 이윤정 작가는 그 과정에서의 미학에 주목한 것이다. 금속이 녹아 새로운 형태로 응고되는 과정에 개입하여 더욱 밀도 있는 작업을 완성했다. 이번 전시에서 금속의 단단함과 차가움, 소재가 지닌 특성을 유연한 감각으로 전환한 작업을 소개한다. 주석으로 만든 가구가 바로 그것인데 사용자의 쓰임에 맞춰 길드는 금속이라는 소재의 특성을 보여준다. 결국 금속의 성질과 다른 감성을 담아 재료가 지닌 반전의 매력을 소개한다.


한편 예올 X 샤넬 프로젝트는 예올의 전통공예 후원 사업의 핵심으로 ’예’- 과거와 현재를 잇고(예올이 뽑은 올해의 장인), ‘올’- 현재와 미래를 잇는(예올이 뽑은 올해의 젊은 공예인)을 선정한다. 장인과 공예가의 지속 가능한 전통 공예품 기획, 개발, 모델링, 생산과 배포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공예의 미래를 장려하는 프로젝트. 2010년부터 1년 단위로 매해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 샤넬과 함께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2025 예올 X 샤넬 프로젝트: 올해의 장인, 올해의 젊은 공예인
전시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
기간 2025.08.21 – 10.11
주소 예올 북촌가(서울 종로구 북촌로 50-1, 50-3)
운영 시간 매일 11:00-17:00 (일, 월, 공휴일 휴관)
프로젝트 기획 재단법인 예올
프로젝트 후원 샤넬
웹사이트 | 홈페이지,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