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영] 토크래프트 김태인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인터뷰 프로젝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 디자이너'를 진행한다.

[꼬꼬영] 토크래프트 김태인

22년간 950여 명이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릴레이 인터뷰 형식으로 소개한다. 서른 번째 주자로 2024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인 정세운이 묻고 토크래프트 김태인이 답했다.

김태인은 소통을 통해 사람과 사물의 시선이 하나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담은 브랜드 ‘토크래프트’를 운영한다. ‘토크래프트(Talkraft)’는 토크(talk)와 공예(craft)의 합성어. 이번 SDF에서 그는 구부러진 클립 모양에서 영감을 받은 ‘클립행거’를 선보일 예정이다. @talkraft_official
정세운(이하 정): 사물과 사람의 시선이 하나 됨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태인 님이 생각하는 사물의 시선이란 무엇일까요?

김태인(이하 김): 토크래프트라는 브랜드명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물과 사람의 시선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공예에 빠져 있던 때라 더 그런 방식으로 접근했던 것 같습니다. 사람의 생각과 행동으로 특정 사물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에 따라 다르겠지만) 재료나 사물의 꿈이 결과물에 반영되기 어렵겠다고 봤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그것들을 더 면밀히 관찰하고, 알아가면서 제작자와 빚어지는 사물 그리고 보는 이가 서로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어요. 이를 은유적으로 시선이라고 표현했고 브랜드명에 그런 작업을 하고 싶다는 염원을 담았습니다.

정: 전작 ‘Anxiety’는 무형의 부정적 심리를 조형적으로 풀어낸 게 인상적이었어요. 해당 작업의 제작 과정을 듣고 싶네요.

김: 평소 관심이 있던 심리와 감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작품입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너무나 많은 감정이 존재하고 이러한 것들을 범박하게 긍·부정으로 분류하자면 우리 기저에 항상 매우 강력한 부정적인 감정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매일 이것들과 싸우고 다스리며 살아간다는 생각에서 주제를 정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 안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불안이라는 요소를 얽힌 실타래나 낙서 같은 풀리지 않는 느낌으로 이미지화한 가구를 만들었습니다.

정: 이번 SDF에서는 클립행거를 선보일 예정인데 이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김: 사실 수학 정도를 제외하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바라보는 일상 사물들의 규정된 쓰임 혹은 보편적 관념에서 조금 벗어나 새로운 방향으로 생각의 폭을 넓혀보면 스펙트럼이 다양해지고 한계가 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틀에 갇히지 않은 생각, 관점의 차이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보는 이들이 재미를 느끼는 가구를 만들어보고 싶었고요.

정: 사물과 사람 사이의 소통과 상호작용이 용이해지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김: 원재료의 특성을 알고 그것을 다루기 좋은 방향으로 작업하는 것, 자연 그대로의 성질을 잘 살려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 등이 상호작용이 잘 되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한 사람이 모든 재료를 직접 다루기 어려울 것이고 그런 방향으로만 사물을 디자인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과물의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언가를 만들었을 때 결과물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조화롭게 느껴져 사람과 사물의 합이 맞는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 결국 소통이 잘되는 것이 아닐까요?

정: 태인 님의 작업에서 최종 목적지가 궁금합니다.

김: 지금은 특정 방향을 정해놓지 않고 상품 제작, 작품 등 할 수 있는 것들은 다 시도해 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기술 위주로 배우다 이제 막 디자인을 배워가는 중입니다. 좋은 디자인 없이는 좋은 작품이 나오기 어렵고, 좋은 디자인이 있다고 해도 기술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작가로 성장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종적으로 디자이너와 작가 둘 다 되고 싶은데 그러려면 더 큰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배워온 것들을 토대로 발전시켜서 사물, 제작자, 관람자(고객)의 합이 맞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jpg입니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jpg입니다

인터뷰 정세운
아카이브를 축적하고 그 가치를 전하는 기록 운동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