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KDA Finalist] 스페이스 부문

올해 심사위원들이 입을 모아 강조한 디자이너의 역할은 자신이 목표한 미적 수준을 향해 끝없이 노력하는 일이었다. 여러 제약 조건에 부딪히더라도 어떤 일관성을 향해 달려가는 ‘파이팅’이 필요하다는 것. 기존의 작업을 넘어서 새로운 감각과 즐거움을 부여한 스페이스 부문의 파이널리스트 4를 소개한다.

[2024 KDA Finalist] 스페이스 부문

건축 분야 파이널리스트

설해원 클럽하우스

241128000000280 O
241128000000038 3

설해원 클럽하우스 증축은 골프 코스의 증설에 따른 로커 부족, 레스토랑 확충, 카트고 신설 등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됐다. 표면적으로는 클럽하우스 리모델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마스터플랜의 재수립과 같았다. 고객 관리 및 주차 동선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 개발 계획에 따른 확장 가능성을 반영해야 했다. 증축 영역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수평, 수직 증축을 혼용해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최적의 동선을 조직하고 시공의 합리성을 담보하는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리모델링 구간별로 적합한 구조 시스템을 찾아내고 이에 맞게 증축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안점이었다. 또한 증축한 주요 공간에는 지붕의 높낮이에 따라 천창을 설치해 연속성 있는 빛 환경을 마련했다. 새롭게 신설한 전면 캐노피와 증축 매스의 지붕은 박공과 평지붕을 결합한 편박공 형태로 설해원 클럽하우스의 새로운 상징이 되도록 했다.

디자인 조호건축사사무소(대표 이정훈), johoarchitecture.com
참여 디자이너 이정훈, 유창석, 최기훈, 최정우, 박형욱
시공 CJ대한통운
목조 시공 수피아건축
구조 설계 허브구조엔지니어링
기계 설계 에이스엔지니어링
전기 설계 에이스엔지니어링
조경 간삼건축
인테리어 계선
조명 설계 비츠로앤파트너스
클라이언트 설해원
발표 시기 2024년 8월
사진 Archframe

있기에, 앞서(Be, fore)

노경 14
241128000000039 8

시화공단 하수종말처리장 유휴 영역의 일부를 재생하는 사업이다. 프로그램은 제안하지 않았다. 이곳에 무언가가 있기에 앞서 다양한 행위가 벌어지는 배경이 되기를 바랐던 건축가는 하수처리 시설의 작동 원리와 기존 대지에서 희미해진 맥락을 찾아 최소한의 경험 장치를 만들었다. 분배조와 농축조의 중심, 점검 시설 데크와 설비 배관 등의 축을 가이드 삼아 기존에 개별적으로 묻혀 있던 토목 구조물을 엮기도 했다. 무엇보다 열린 시퀀스를 의도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값싼 동시대의 재료와 최소한의 건축적 표현을 통해 우리의 무의식에 내재된 어떤 공동체를 건축적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했다.

디자인 정이삭(동양대학교 교수) / 에이코랩건축사사무소(대표 홍진표), acolab.co.kr
참여 디자이너 송정우, 배장우, 조유환, 유희정
클라이언트 시흥시
발표 시기 2024년 10월
사진 노경


인테리어 분야 파이널리스트

제이원 부동산 중개사무소

241128000000308 O
241128000000309 O

부동산 중개사무소의 새로운 디자인 유형과 더 나은 가로 미관에 대해 고민한 프로젝트다. 별다른 구분 없이 사무 공간과 미팅 공간이 한데 섞인 일반 중개사무소에서 벗어나 기능에 맞게 공간을 구획하고 다목적 공간을 마련해 공간 대여 및 팝업 행사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안정적인 공간감을 위해 천장에 지름 3m의 원형 오브제를 설치하여 스케일을 조절하고, 여기에 그림자가 생기도록 조명을 비춤으로써 실내외 공간에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디자인·시공 스튜디오 승호(대표 이승호), studioseungho.com
참여 디자이너 이승호
클라이언트 제이원 부동산 중개사무소(대표 박정일)
발표 시기 2024년 8월
사진 장미

덕분

241128000000321 O
241128000000322 O

발단, 전개, 절정, 결말, 여운의 흐름으로 동선을 구획해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자 했다. 공간의 시퀀스는 마을에서 착안했다. 갓 지은 밥에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공감각적 풍경을 담장 너머로 건너보는 듯한 파사드가 특징이다. 환대의 공간을 지나면 햇볕이 가득한 안뜰처럼 안온한 웨이팅 공간과 옛 마당을 표현한 메인 홀이 이어진다. 레진 소재를 활용해 다양한 식재료를 표현한 메인 홀 벽면을 보며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숯의 물성에서 영감을 얻은 프라이빗 룸은 마치 백탄과 검탄처럼 톤앤매너가 서로 다른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했다.

디자인 플라이밍고(대표 김준호), flymingo.kr
참여 디자이너 김준호, 황지연, 전민선, 류우진, 김태훈
BI 디자인 클레이(대표 김형우)
시공 스튜디오 핀(대표 변윤창)
클라이언트 덕분
발표 시기 2024년 7월
사진 최용준

*이 콘텐츠는 월간 〈디자인〉 558호(2024.12)에 발행한 기사입니다.
AD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