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영] 디자이너 이명희
디자인플러스는 올해 11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하 SDF)에 참가하는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인터뷰 프로젝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 디자이너'를 진행한다.
22년간 950여 명이 신진 디자이너들을 배출한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은 명실상부 디자이너의 등용문이다. 디자인플러스는 내일의 주인공이 될 이들을 릴레이 인터뷰 형식으로 소개한다. 스물 네 번째 주자로 2024 SDF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참가자인 왕은지가 묻고 이명희가 답했다.
왕은지(이하 왕): 단위를 활용하는 작업 과정이 흥미로워요. ‘단위 형태’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이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이명희(이하 이): 우선 단위 형태란 구조물이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때 그 안에서 한 번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유사 형상을 말합니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블록을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죠. 제 작업도 블록처럼 같거나 유사한 단위 형태를 더하거나 빼는 과정을 거칩니다. 단위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은 자유롭게 창의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 즐거운 창작 과정이 오랫동안 작업할 수 있는 동력이자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왕: 단위 형태를 사용해 곡선을 만드는 데에 어려움은 없나요?
이: 제 작업은 프레스한 금속을 커팅해 단위 형태를 제작한 후,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확실히 곡선으로 배치해 용접하는 것은 직선으로 배치할 때보다 난이도가 있죠. 하지만 금속의 정적이고 차가운 이미지에서 조금 더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자 곡선 배치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곡선을 강조하고, 더욱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왕: 어떤 공간에 작품이 놓이기를 희망하나요?
이: 잘 꾸며진 카페나 갤러리도 좋지만, 개인적으로 주거 공간에 놓였으면 해요.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집 곳곳에 제 작업이 놓이기를 바랍니다. 이번 SDF를 통해 제 작업이 누군가의 공간을 멋지게 채워 줄 기회가 늘기를 바라고 있어요.
왕: 다른 소재와 차별화되는 금속의 메리트는 무엇일까요?
그만큼 단단하고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고, 제작한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제 작업이 대대로 물려줄 수 있는 사물이 되기를 바라며 작업하고 있어요. 덧붙이자면 금속 본연의 색이 너무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는 지나치게 강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자꾸 보다 보면 은은한 금속의 매력에 빠지게 될 거예요.
왕: 명희 님의 작업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요?
이: ‘확장’. 제 작업은 단위 형태를 활용해 지속해서 디자인하고 제작할 수 있습니다. 확장 가능성이 무한하다고 할 수 있죠. 디자이너이자 작업자에게 이러한 요소가 꾸준히 작업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아직 보여주지 못한 것들이 많기에, 앞으로 더욱 작업을 확장해 나가고 싶습니다.
인터뷰 왕은지
‘파츠’의 형태미를 탐구해 가구로 이식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