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오디오 뮤지엄, 오디움(Audeum) 개관

음향을 오감으로 체험하는 곳

세계 최초의 오디오 뮤지엄이 국내에 개관했다. 일본 건축가 쿠마 켄고와 디자이너 하라 켄야가 디자인에 참여해 더욱 눈길을 끈다.

세계 최초의 오디오 뮤지엄, 오디움(Audeum) 개관
오디움 전경 이미지1
오디움 외부 전경 ©Audeum Audio Museum, All Rights Reserved. 사진 이남선

세계 최초의 오디오 뮤지엄이 국내에 개관했다. 서울 서초구에 자리한 ‘오디움(Audeum)’이다. 1877년 유성기 발명 이후 150년간의 오디오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 보존, 연구 및 전시하는 전문 사립박물관이다. 지상 5층, 지하 2층 규모의 오디오 뮤지엄 ‘오디움(Audeum)’의 건물은 일본 건축가 쿠마 켄고와 디자이너 하라 켄야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특히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쿠마 켄고가 디자인한 국내 최초의 건축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남다르다.

오디움 정문 전경1 1
오디움 정문 전경

먼저 건물 외형은 밝은 알루미늄 파이프 2만 개가 수직으로 건물을 감싸고 있다. 마치 빛과 그림자가 숲에 스며드는 효과를 내는데 도심 속 자연을 표현했다고. 오디움 내부 전시실 벽도 눈길을 끈다. 나무로 단차를 두어 흡음력을 높였다. 특히 지하 2층 라운지 공간에는 웨스턴 일렉트릭릭(Western Electirc)사의 대표 오디오 시스템 중 하나인 ‘미러포닉(Mirrorphonic)’을 전시했는데, 청음에 유효한 패브릭을 자재로 사용해 음향을 부드럽고 입체적으로 만들었다.

라운지 전경 이미지1
오디움 라운지(B2F) 전경 ©Audeum Audio Museum, All Rights Reserved. 사진 이남선

오디움의 비주얼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 디자인도 눈여겨 봐야 한다. 디자이너 하라 켄야는 박물관의 주요 소장품인 스피커 형태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의 심벌마크’를 표현했다. 정문에 설치한 조형물부터 오디움 사이니지, 웹사이트 등에 심벌을 사용했다. 특히 웹사이트에는 소리를 시각화한 장치들을 사용해 눈길을 끈다. 일본 ‘Heima’라는 그룹이 연주한 바흐의 ‘무반주첼로 연주곡’과 스피커 모양의 오디움 로고 애니메이션을 접목해 소리의 매력을 전한다.

오디움 전시장 전경 이미지1
오디움 전시 전경 ©Audeum Audio Museum, All Rights Reserved. 사진 이남선

한편 오늘(5일) 열린 개관전 <정음(正音): 소리의 여정>에서는 19세기 축음기와 뮤직박스, 1920년대부터 60년대의 빈티지 오디오 시스템 등 다양한 컬렉션을 만날 수 있다. 오디움은 매주 목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주 3회 운영한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AD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