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4년 서울은 어떤 모습일까?
시간성, 역사성, 공간성의 경계를 초월하는 작품을 선보이는 작가 다니엘 아샴이 롯데뮤지엄에서 <서울 3024(Seoul 3024)> 개인전을 개최한다.
조각, 회화, 건축, 영화 등 장르의 구분 없이 활발히 작업하는 시각 예술가, 다니엘 아샴 Daniel Arsham이 그리는 천년 후 서울 모습은 어떨까? 롯데뮤지엄에서 펼쳐지는 다니엘 아샴의 개인전 <서울 3024>는 3024년 미래의 서울을 주제로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되어 시간을 초월하는 이질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현대 문명과 유적 발굴을 재해석한 ‘상상의 고고학 Fictional Archaeology’이라는 작가만의 독창적인 개념에 기반한 작품 250여 점을 출품했다.
총 아홉 개의 섹션으로 구성한 전시는 작가의 세계관 속에 공존하는 여러 시대와 시간, 문화, 장르를 넘나든다. 루브르 박물관의 소장품인 고대 조각상을 재해석한 <밀로의 비너스 Venus of Milo>부터 <미래 유물 Future Relic> 오브제 시리즈, 발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한 <발굴 현장 Excavation Site>, 시대를 대변하는 대중 문화의 아이콘 포켓몬 작품까지 20여 년간 점철된 세계관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더불어 다니엘 아샴의 초기작들과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한 가구, 패션, 건축, 영화 등을 통해 시각예술의 확장을 선보인다.
전시를 둘러보다 보면 다니엘 아샴이 추구하는 세계관에 궁금증이 생길 텐데, 이는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마이애미에서 겪은 경험 때문이라고 한다. 허리케인으로 폐허가 된 도시는 그에게 인간의 무력함, 자연의 압도감, 문명의 덧없음을 느끼게 했다고. 그렇기에 초기작을 살펴보면 자연과 인공, 시간의 경계가 사라진 형태의 조각과 회화가 자주 등장하는 것. 이후 2010년 다니엘 아샴은 남태평양 이스터 섬(Easter Island)을 방문해 유물 발굴 현장을 목격하고 진실과 허구로 구성된 역사를 주제로 다양한 작업 세계를 보여주게 된다. 이때 다니엘 아샴은 과거의 유물을 통해 현시점의 역사를 추적하는 고고학자에 영감을 받아 ‘상상의 고고학’이라는 개념에 착안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이번 전시는 SF 장르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Post-apocalypse 세계관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당신이 도착하는 매순간이 미래다. 당신은 이미 그곳에 도착했다.”
다니엘 아샴 Daniel Arsham
“Each moment in which you arrive is the future. You’ve already arrived at it.”
© Daniel Arsham.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 Daniel Arsham.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전시의 하이라이트 격인, 서울을 주제로 한 대형 회화 2점은 놓치지 말아야겠다. 서울 북한산을 배경으로 한 <3024년 북한산에서 발견된 헬멧을 쓴 아테나 여신(Athena Helmeted Found in Bukhansan)>과 <3024년 북한산에서 발견된 신격화된 로마 조각상(Rome Deified Found in Bukhansan 3024)>을 최초 공개한다. 그의 대표작인 <발굴 현장>에는 3024년 폐허가 된 서울을 담아냈는데 핸드폰, 신발, 카메라와 같은 현대의 물건이 오래된 유물처럼 발굴되는 모습을 그려내 이색적인 장면을 선사한다. 시간을 초월한 세계에서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경험을 즐겨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