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환

박재환

음악과 함께하는 소파와 오토만 세트. 사용자들이 따로 혹은 같이 둘러 앉아 음악을 감상하며 자유롭게 휴식을 취하는 장면을 떠올리며 디자인했다.

전재호

전재호

집에 어울리는 작업용 책상과 의자. 일에 집중하다가도 의자 한켠에 기대어 책상 너머를 바라보면 집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박인해

박인해

일상 속 마주하는 사물들을 통해 사소한 것들의 아름다움과 영감을 발견하기 위해서 그것들을 내 시선대로 재구성하는 행위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무늬목 조각보 패턴이 입혀진 모듈형 유닛 선반을 자신의 의도대로 편집하여 유닛들이 만들어내는 조합 속 빈 공간에 자신의 사물들을 재구성한다. 레이아웃을 편집하며 하나의 씬을 구성하고, 평상시에 보는 사물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박진희

박진희

“시설’ 생활을 하던 자들이 ‘탈시설’을 외친다. 보호해 왔다고 믿었는데, 격리당해 왔다고 말한다. 보이지 않는 경계는, 그들과 우리를 각각 ‘바퀴가 헛돌 뿐, 늘 제자리인 휠체어’와 ‘장애인 시설의 존재에 물음을 던지지 않는, 성찰 없는 믿음’에 가둬버린 것일지도 모른다.”

김예섬

김예섬

빛의 통로가 되어 매일을 새롭게 달려보겠습니다. 나와 여러분들이 각각의 뉴런이 되어 이 세상 곳곳의 외로움들을 포옹할 수 있길 기도합니다.

이유진

이유진

“뮤지컬 ’웃는 남자‘의 상처 속 희망을 담은 가구. 가시처럼 날카로운 현실 속에도,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며, 희망의 빛을 비추는 작품. 뮤지컬 ’웃는 남자‘의 환상을 담은 가구. 어려운 현실을 뒤로하고, 고래가 밤바다로 향하며 새로운 세상을 마주하는 것 같은 작품.”

이유민

이유민

사랑은 양가적이고도 역설적인 감정이다. 유려한 형태와 화려한 색감의 심해생물은 자세히 관찰할수록 그것이 가진 기괴한 디테일이 드러나게 된다. 작가는 심해생물이 가진 조형적 특징을 사랑의 역설적인 측면과 연결하여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