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uary, 2025
![January, 2025 1 01 19 832x624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1-19-832x624-2.jpg)
![January, 2025 2 1 2 1024x576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1-2-1024x576-1-832x468.jpg)
![January, 2025 3 주제관 조화의 다락 1 832x450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주제관_조화의-다락-1-832x450-1.jpg)
![January, 2025 4 218 미로 쫑 3](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218-미로-쫑-3-832x800.jpg)
![January, 2025 5 094A7426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94A7426-1-832x555.jpg)
![January, 2025 6 871d969a41319](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871d969a41319-832x554.jpg)
![January, 2025 7 111 1000x800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111-1000x800-1-832x666.jpg)
![January, 2025 8 이미지 2 832x470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이미지-2-832x470-1.jpg)
![January, 2025 9 YNL Design MIINSILOK 01 1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YNL-Design-MIINSILOK-01-1-2-832x554.jpg)
1. 묵정 서울
designed by 쇼메이커스
#공간 #인테리어
![January, 2025 10 01 19 832x624 3](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1-19-832x624-3.jpg)
![January, 2025 11 04 10 832x557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4-10-832x557-1.jpg)
최근 서울 묵정동에 한식 다이닝 공간 ‘묵정 서울‘이 오픈했다. 쇼메이커스가 인테리어, 콘셉트, 브랜딩을 총괄했는데 묵정동이라는 지역성을 공간 안에 녹여낸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쇼메이커스는 조선 시대 ‘검정우물’이라고 불렸던 묵정동의 지역명에서 유래한 역사적 배경을 공간에 반영했다. 1층 진입부에는 200년 넘은 고재를 활용한 구조물을 비치해 압도적 인상과 더불어 서까래 아래에서 함께 식사를 하는 듯한 친근함도 전달한다. 빛을 강조한 2층 공간을 지나 3층에 오르면 프라이빗 다이닝 룸으로 향하는 긴 복도가 펼쳐지는데 이는 깊은 우물에 대한 은유다.
2. 단행본 〈B주류경제학〉
designed by 일상의실천
#그래픽 #편집
![January, 2025 12 1 2 1024x576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1-2-1024x576-2-832x468.jpg)
![January, 2025 13 4 1 1024x576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4-1-1024x576-1-832x468.jpg)
![January, 2025 14 3 3 1024x576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3-3-1024x576-1-832x468.jpg)
‘B주류경제학’은 금융 플랫폼 토스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머니그라피〉에서 이재용 회계사와 토스 호스트 김창선이 함께 진행하는 코너이다. 단행본 〈B주류경제학〉은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를 토대로, 사람들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경제적인 측면으로 풀어낸 소비문화와 경제 이야기를 펴낸 책이다. 일상의실천이 〈B주류경제학〉의 표지와 내지 디자인을 맡았다. 딱딱한 정보서의 느낌이 아닌 ‘머니그라피’에서 볼 수 있는 세련되고 감성적인 무드를 살리고자 했다. 경제학을 기본으로 한 토크쇼의 아이덴티티를 살려 레이아웃을 디자인했으며, B주류경제학이 지닌 키치한 느낌을 강조하는 일러스트 드로잉을 활용해 책의 방향성을 구체화했다.
클라이언트 토스, 밀리의서재
3. 2024 서울리빙디자인페어 in 마곡 ‘주제관’
designed by 논스페이스
#전시 #공간
![January, 2025 15 주제관 사유의 다실 1 832x454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주제관_사유의-다실-1-832x454-1.jpg)
![January, 2025 16 주제관 조화의 다락 1 832x450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주제관_조화의-다락-1-832x450-2.jpg)
지난 11월 28일부터 12월 1일까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2024 서울리빙디자인페어 in 마곡’이 열렸다. 코엑스 마곡의 첫 개관을 축하하는 의미도 있는 이번 SLDF는 ‘시작을 축하해: 꿈의 시작’이라는 주제 아래 신혼부부, 사회 초년생, 시니어 등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리빙 콘텐츠를 선보였는데 주제관은 논스페이스가 총괄 기획했다. 일상의 물건들을 비일상적인 공간에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그것들이 단순히 ‘존재하는 것’에서 ‘의미를 품은 물건’으로 변모하는 순간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했다. 공간은 관계의 집, 조화의 다락, 사유의 다실, 취향의 서재, 완성의 정원이라는 다섯 가지 소주제로 나눴고 공간마다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삶, 자연, 맥락, 취향과 연관 지어 전시를 구성했다.
클라이언트 서울리빙디자인페어
4. 건축 잡지 〈미로〉 창간호
designed by 워크룸
#편집 #그래픽
![January, 2025 17 미로 목업 복사 1000x856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미로-목업-복사-1000x856-2-832x712.jpg)
![January, 2025 18 218 미로 쫑 3 1 edited](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218-미로-쫑-3-1-edited.jpg)
최근 창간한 건축 잡지 〈미로〉는 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나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한다. 건축가, 기획자, 비평가, 큐레이터, 역사학자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워크룸이 편집 디자인을 진행했는데, 제호 디자인에 해법도 출구도 보이지 않는, 한국 건축이 처한 상황을 은유하는 한편 독자들이 예상치 못한 길을 찾길 바란다는 편집 지향점을 담았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으로 음악, 영화, 문학, 공연 등 여러 창작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현대 문화에 대한 참조와 인용이 건축계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을 통해 되짚었다.
클라이언트 정림건축문화재단
5. 오설록 티하우스 1979점
designed by 임태희 디자인 스튜디오
#공간 #인테리어
![January, 2025 19 094A7386 3 1000x671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94A7386-3-1000x671-1-832x558.jpg)
![January, 2025 20 094A7609 2 832x1108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94A7609-2-832x1108-1.jpg)
![January, 2025 21 094A7747 2 832x1168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094A7747-2-832x1168-1.jpg)
오설록 티하우스 1979점이 리뉴얼 오픈했다. 임태희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공간 디자인을 맡았다. 이곳은 건물 내외부를 연결하는 1층 자리에 들어선 만큼 입지를 해석하고 조화를 꾀하는 일이 중요했다. 디자이너는 매장을 하나의 건물로 상정했다. 아모레퍼시픽 사옥이 도시라면, 오설록 티하우스 1979점은 그 도시의 맥락에 스며든 건축이기를 바랐다. 궁극적으로는 도시, 건축, 공간, 오브제가 일체화된 듯한 경험으로 방문자의 감각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자칫 차갑게 느껴질 수 있는 금속 소재에 공예적 감각과 정연한 디자인을 더해 자연스럽고 안온한 분위기를 조성한 것. 한국 차 문화를 선도해 온 오설록의 헤리티지를 집약적으로 담은 오설록 티하우스 1979점은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디자인을 완성했다.
클라이언트 아모레퍼시픽
6. ECKE
designed by 최중호스튜디오
#가구
![January, 2025 22 871d969a41319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871d969a41319-1-832x554.jpg)
![January, 2025 23 8958a7097fbbe](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8958a7097fbbe-832x554.jpg)
지난 10월, 최중호스튜디오는 가구 브랜드 레어로우 RARERAW의 10주년을 기념하는 협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는 총 10개의 디자인 스튜디오가 각기 다른 카테고리의 독특한 디자인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최중호스튜디오는 ‘트롤리 ECKE’ 디자인을 선보였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취향과 용도에 맞게 확장할 수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두었다. 트롤리는 한쪽 구석에 놓아 수납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동이 가능해 활용도를 높였다. 기본적으로 3개의 서랍으로 구성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랍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쌓을 수 있는 유연한 구조로 실용성을 더했다.
7. 비노 VINO 컬렉션
designed by 구오듀오
#가구
![January, 2025 24 111 1000x800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111-1000x800-2-832x666.jpg)
![January, 2025 25 15 launching show 2 832x1040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15_launching-show-2-832x1040-1.jpg)
![January, 2025 26 82 832x1040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82-832x1040-1.jpg)
산업 디자인 스튜디오 구오듀오 Kuo Duo가 가구 브랜드 위키노 Wekino와 함께 새로운 가구 컬렉션을 선보였다. 컬렉션 이름인 ‘비노 VINO’는 이탈리아어로 와인을 뜻하는 단어로, 가족과 침구가 함께하는 따뜻한 순간에서 영감을 얻었다. 주재료로 너도밤나무를 사용해 밝고 부드러운 질감이 특징. 구오듀오와 위키노는 이 컬렉션을 무려 2년간 개발했는데, 디자이너의 섬세한 디자인과 가구 브랜드의 제조 기술을 결합이 돋보인다. ‘비노 체어’가 대표적인데 넓은 뒷다리와 부드러운 곡선이 특징으로 컬러 옵션을 제공해 다채롭게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테이블은 미니멀하면서 동시에 볼드한 디테일을 강조했다. 상판과 다리를 옵션으로 가져 유연하게 조합이 가능하다. 소파와 로우 테이블은 실용성을 중점으로 두어 디자인했다.
8. 킨더유니버스 브랜딩
designed by 디자인모멘텀
#브랜딩
![January, 2025 27 이미지 2 832x470 2](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이미지-2-832x470-2.jpg)
![January, 2025 28 URS2300 832x555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URS2300-832x555-1.jpg)
올해 초 롯데백화점은 새로운 키즈관 ‘킨더유니버스’를 오픈했다. 브랜딩을 맡은 디자인모멘텀은 아이들만을 위한 기존 백화점의 키즈관과 차별화하기 위해 가족 전체의 편안한 휴식과 즐거움을 위한 공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브랜드 세계관을 설계했다. 그 결과 도출한 콘셉트 ‘Unexpected Story’에는 아이와 어른 두 상상 속 친구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며 즐거움을 만끽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킨더유니버스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로고타이프는 이 콘셉트를 함축한 결과물이다. 넘치는 개성을 표현하고자 의도적으로 글자의 너비와 폭을 불균등하게 디자인했다. 특히 심벌이기도 한 킨더의 ‘R’은 속 공간을 채우고 눈을 그려 넣어 인격체처럼 표현했다.
클라이언트 롯데백화점
9. 미인실록 패키지
designed by YNL
#패키지
![January, 2025 29 YNL Design MIINSILOK 02 832x544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YNL-Design-MIINSILOK-02-832x544-1.jpg)
![January, 2025 30 YNL Design MIINSILOK 06 832x555 1](https://design.co.kr/wp-content/uploads/2024/12/YNL-Design-MIINSILOK-06-832x555-1.jpg)
미인실록은 전통주인 막걸리의 추출물 쌀 지게미를 핵심 성분으로 한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이다. 미인실록은 패키지부터 로고, 컬러, 포장재까지 모든 요소가 한국 전통에서 모티프를 얻어 만들어졌다. 전체 디자인은 와이엔엘 디자인 YNL이 진행했다. 한글의 우아한 곡선과 직선의 조화, 그리고 한글 명조체의 특징인 삐침을 그대로 유지하며 모던하게 해석해 한국적인 미학을 세련되게 로고로 풀어냈다. 그리고 옛 선조들이 사용했던 세로쓰기를 모티프로 삼아 세로 로고타입을 시그니처로 활용했다. 라벨링 스티커에 사용된 그래픽은 한자 쌀 미(米)에서 영감을 받아 제품의 브라이트닝 효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메인 컬러 역시 핵심 원료인 쌀 지게미에서 모티프를 얻어 Soft Ivory와 Dark Brown을 사용해 제품의 사용 효과를 더욱더 강조한다.
클라이언트 미인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