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디자인] 서울 아트 위크 필수 관람 체크리스트
예술의 열기가 식지 않는 9월의 서울.

여름의 열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9월의 서울은 다시금 뜨겁게 달아오를 예정이다. 한국 최대의 예술 축제 키아프 & 프리즈 서울이 돌아오기 때문. 예술과 디자인은 본래 뗄 수 없는 관계라고 해도 무방하며, 디자인의 영감 또한 종종 예술에서 비롯되지 않던가. 그래서 이번 주 위클리 디자인에서는 〈키아프 & 프리즈 서울 2025〉 프리뷰와 더불어, 절대 놓쳐서는 안 될 미술관 전시 리스트까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이라는 캔버스를 물들일 초대형 예술 축제에서 어디를 방문할지 고민이라면 이 글이 이정표로 삼아보자. 혹, 이미 일정이 정했다면 다른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전시를 참고하며 여정을 풍성하게 채워도 좋다. 곧 찾아올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 그전에 예술로 마음의 양식을 미리 채우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계절을 맞이해보는 건 어떨까?
키아프&프리즈 서울 2025
예술의 계절이 돌아온다. 국내 최대 규모의 아트 페어 <키아프 서울>과 아시아 미술 시장의 허브로 자리 잡은 <프리즈 서울>이 오는 9월 첫째 주, 나란히 코엑스에서 막을 올린다. 올해로 24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공진(Resonance)’을 주제로, 예술이 지닌 회복력과 울림을 통해 미술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한다.
장소 코엑스 1층 홀 A·B, 그랜드불롬(키아프 서울), 코엑스 홀 C·D(프리즈 서울)
기간 2025년 9월 3일 – 9월 7일(키아프 서울), 2025년 9월 3일 – 9월 6일(프리즈 서울)
롯데뮤지엄 – 옥승철, <프로토타입(PROTOTYPE)>
롯데뮤지엄에서는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동시대 작가 옥승철의 개인전 <프로토타입(PROTOTYPE)>이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초기작부터 신작까지 회화·조각 등 80여 점을 아우르며, 디지털 이미지의 복제와 소비 속에서 변형되는 원본성과 실재성의 문제를 탐구한다.
장소 롯데뮤지엄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타워 7층)
기간 2025년 8월 15일 – 10월 26일
호암미술관 – 루이스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
호암미술관은 20세기 현대미술의 거장 루이즈 부르주아(1911-2010)의 대규모 회고전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을 개최한다. 한국에서 25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전시는 회화, 조각, 설치 등 총 106점의 작품을 아우르며, 초기 <인물> 연작부터 대형 <밀실> 시리즈, 말년의 패브릭 작업까지 작가의 70여 년 창작 여정을 한자리에 모았다.
장소 호암미술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562번길 38)
기간 2025년 8월 30일 – 2026년 1월 4일
국립현대미술관 – 김창열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거장 김창열(1929-2021)의 작고 이후 첫 대규모 회고전을 만날 수 있다. 지난 8월 22일부터 오는 12월 21일까지 열리는 <김창열>전은 초기 앵포르멜 시기부터 뉴욕과 파리 체류기, 물방울 회화, 천자문 연작에 이르기까지 그의 창작 여정을 연대기적으로 조망한다. 미공개 작품 31점을 포함해 120여 점이 출품될 예정이다.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기간 2025년 8월 22일 – 12월 21일
송은 – <PANORAMA> 그룹전
송은은 그룹전 를 통해 동시대 한국 작가 8팀의 작업 세계를 집중 조명한다. 권병준, 김민애, 박민하, 이끼바위쿠르르, 이주요, 최고은, 한선우, 아프로아시아 컬렉티브가 참여해 회화, 조각, 설치, 영상, 사운드 등 25여 점을 선보이며 사회·시공간·외부 세계에 대한 다양한 감각을 탐구한다.
장소 송은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441)
기간 2025년 8월 22일 – 10월 16일
리움미술관 – 이불, <1989년 이후>
리움미술관은 한국 동시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이불의 대규모 서베이 전시 <이불: 1998년 이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퍼포먼스, 조각, 설치, 평면을 아우르며 인간과 기술, 자연과 문명, 신체와 사회를 둘러싼 복잡한 관계를 탐구해온 작가의 지난 25년 작업을 총망라한다.
장소 리움미술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기간 2025년 9월 4일 – 2026년 1월 4일
Design+의 콘텐츠를 해체하고 조립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위클리 디자인]은 매주 월요일 아침 7시에 발행됩니다.